노후찬가(老後讚歌)
-- 유선진(여), 수필가(隨筆家)(1936년 서울출생)
미동초등, 경기여중·고, 이화여대 영문과 졸업] 님의
"노년(老年)은 젊음보다 아름답다."
우리 집의 아침은 늦게 밝는다.
일흔여덟 살의 영감(令監)과 일흔 줄의 마눌이 사는 집,
출근(出勤)길이 바쁜 직장인(職場人)도,
학교(學校)에 늦을 학생(學生)도 없으니
동창(東窓)의 햇살이 눈이 부실 때까지
마음 놓고 잠에 취(醉)한다.
노년(老年)에 들면 초(初)저녁 잠이 많아
저절로 아침 형(型) 인간(人間)이 된다는데
우리 내외(內外)의 수면 형태(睡眠 形態)는
여전(如前)히 젊은이 같아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난다.
식사(食事) 준비도 간단(簡單)하다.
잡곡(雜穀)밥에 된장국, 그리고 김치와 시골에서
가져온 푸성귀, 생선(生鮮) 한 토막이 전부(全部)다.
마눌은 영감에게 초라한 밥상을 내밀며
자랑이나 하듯 말을 한다.
조식(粗食)이 건강식(健康食)인 것 아시지요?
조악(組惡)한 음식(飮食)이라야 노후(老後)의
건강(健康)을 유지(維持)할 수 있다는 핑계를 대며...
나에게는 조촐한 식단(食單)이 입맛에 맞는
일상(日常)의 식사(食事)로 속으론 고마워하면서도
아직 내색(內色)해 본적이 없다.
그러면서 중얼거린다.
늙었다는 것은 정말 편(便)한 것이구나.
식후(食後)의 커피처럼 황홀(恍惚)한 것이 또 있을까.
우리집의 소파가 놓여 있는 동(東)쪽은
전면(全面)이 유리창(窓)인데 찻잔을 들고
건너다보면 동(東)쪽의 공원(公園) 야산(野山)
수목(樹木)이 마치 내집 마당처럼 눈에 들어온다.
나는 가꾸는 수고(手苦)없이
그 안에 가득한 꽃과 나무를 즐긴다.
소유(所有)하지 않으면서도 누릴 수 있는 많은 것들,
분주(奔走)한 젊은이에겐 어림없는 일이다.
한유(閑遊)의 복(福)은 노후(老後)의 특권(特權)이다.
느긋하게 신문(新聞)을 본다.
주식시장(株式市場)에 며칠 사이 수십조(數十兆)원에
이르는 자금(資金)이 날라 갔다는 기사(記事)를 읽는다.
이익(利益)이 있는 곳이면 벌떼처럼 모이는 군상(群像)들,
TV를 본다.
권력(權力)을 잡기 위한 시투(死鬪)의 현장(現場),
거기에 온갖 거짓과 뻔뻔함이 등장(登場)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내게는 어느 남가일몽(南柯一夢)의
꿈인 듯 허망(虛妄)하다.
다만 젊은 후손(後孫)들의 심사(心思)를 오염(汚染)시켜
사람인지 짐승인지 구분(區分)못하는 세상(世上)이 될까 두렵다.
일상(日常)에서 초연(超然)해 지는 것이
‘늙음’의 은총(恩寵)인가. 만용(蠻勇)이 사라지고
과욕(過慾)이 씻기어 나가고..
인생(人生)에서 어느 시기(時期)를
제일 좋은 때라고 말할 수 있을까,
뛰어 놀고 공부(工夫)만 하면 되는 어린 시절(時節)일까,
드높은 이상(理想)에 도전(挑戰)해 보는 열정(熱情)의
청춘시절(靑春時節)일까,
아니면 가정(家庭)을 튼실하게 이루고 사회(社會)의
중견(中堅)이 되는 장년(壯年) 시절(時節)인가.
도전(挑戰)하고 성취(成就)하고 인정(認定)받는
이런 시절(時節)은 가히 황금기(黃金期)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좋은 시절(時節)에 나는 결코 행복(幸福)하지도
황금(黃金)을 맛보지도 못했다.
경쟁(競爭) 대열(隊列)에서 뒤떨어 지지 않으려 애쓰던
그 시절(時節), 삶의 본질(本質)은 할 일 없는 자(者)들의
주술(呪術)로 여기고 앞만 보고 달렸기에
남에게 아쉬운 소리 안하고 살았는가 보다.
그러면서 세월(歲月)의 영욕(榮辱)속에 밀리고 밀려
추락(墜落)의 끝이라고 생각한 ‘노후(老後)’ 라는 땅에 이르렀다.
그러나 내가 도착(到着)한 ‘노년(老年)’은 축복(祝福)의 땅이었다.
잃을 것이 없는 빈손 때문이 아니라
얻으려는 욕망(慾望)이 걷힌 빈 마음으로
풍요(豊饒)의 고장이었고, 비로소 최선(最善)과
정도(正道)가 보이는 밝은 눈의 영토(領土)였다.
책임(責任)에서도 의무(義務)에서도 자유(自由)로운
나이 세상(世上)에 있으되 세상(世上)에 묶이지 않는
평화(平和)와 고요가 가득한 곳이었다.
영감 할멈 둘이 사니 우선(于先) 아늑하고 편안(便安)하다.
청소(淸掃)도 일주일(一週日)에 한두 번
먼지 닦는 일만 거들어 주면 된다.
그러고는 아침에 일어나면 침대(寢臺) 꼼지락 운동(運動)과
뒷동산 산보(散步)로 늙은 육신보전(肉身保全)하며
모자라는 삶의 공부(工夫)도 보충(補充)한다.
심심하면 여행(旅行), 바둑도 하고 고향(故鄕)시골을
별장(別莊)삼아 찾아보는 여유(餘裕)도 챙겨본다.
술, 담배 즐기지만 아직 살아있음을 고마워하면서.
얼마 있으면 결혼(結婚) 52주년(周年)이 되는 해이다.
늙어 무력(無力)해진 영감과 나보다 훨씬 젊은 마누라의
주름진 얼굴을 바라보며 젊은 시절(時節)
한 번도 나누어 보지 않은 정다운 눈빛으로
서로의 늙어가는 모습을 바라보았다.
그리고 두 손을 잡고 어린 나이에 찢어지게
가난한 집에 시집와서 고생(苦生)한 마누라를 응시(凝視)하며
우리 내외(內外)에게 살아 있을 때
즐거운 노후(老後)를 허락(許諾)하신
우리들 생명(生命)의 주인(主人)과 우리를 살게 해 준
여러 인연(因緣)들에게 진실(眞實)로 감사(感謝)의
마음을 드립니다.
내일(來日) 어떻게 될지 모르는 우리 나이
오늘 지금을 즐겁게 사는 게 천당(天堂)이고
극락(極樂)으로 여기고 산다.
아침에 일어나면 오늘도 살아있음을 고마워 하면서...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기로운 사람 (0) | 2023.11.02 |
---|---|
개팔자 상팔자 (0) | 2023.11.02 |
베품이 주는 풍요로움 (0) | 2023.11.02 |
고집이 센 성(姓)씨들 이야기 (0) | 2023.11.01 |
하늘이 세상에 (0)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