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칸트의 양심
우현 띵호와
2025. 1. 26. 10:47
칸트의 양심
임마누엘 칸트는 도덕 철학을 높이 세운
위대한 철학자이다.
그의 묘비에는 이런 글이 씌어 있다.
"생각을 거듭할수록 감탄과 경외로
나의 마음을 가득 채우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나의 머리 위에 별이
총총히 빛나는 하늘이며,
다른 하나는 내 안의 도덕 법칙이다."
하늘의 별처럼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양심이 자기 마음 속에 또렷이 빛나고
있다는 것이다.
칸트가 도덕법칙을 강조한 데에는
아버지의 영향이 컸다.
어느 날 그의 아버지가 말을 타고
산길을 지날 때였다.
강도들이 그에게 가진 것을 빼앗은 뒤 물었다
“숨긴 것이 더 없느냐?” "없습니다.”
"그럼 이제 가거라.”
물건을 모두 빼앗은 강도들은 그를 놓아주었다.
그런데 길을 가던 칸트의 아버지는
바지춤에 몰래 숨겨둔 금 덩어리가 있음을
뒤늦게 발견했다.
그는 강도들에게로 다시 돌아갔다.
"조금 전에는 경황이 없어 숨긴 게
없다고 했지만 지금 보니 이 금덩이가
남아 있었습니다. 받으십시오."
그 말에 강도들은 멘붕에 빠지고 말았다.
강도는 빼앗은 물건들을 돌려주면서
그 앞에 엎드려 용서를 빌었다.
감나무에 감이 열리고
배 나무에 배가 열리는 법이다.
정직한 아버지에게서 양심의 횃불을 밝힌
위대한 철학자가 태어날 수 있었다.
미국에서 열린 전국 철자 맞히기 대회에서
있었던 일이라고 한다.
열 세살 소년이 echolalia의 철자를
틀리게 얘기했으나 심사위원이 잘못 듣고
맞았다고 하는 바람에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되었다.
아이는 자기가 틀렸다는 사실을
심사위원에게 솔직히 털어 놓았고
결국 탈락했다.
다음 날 뉴욕타임스는 이 정직한 아이를
'철자 대회 영웅'으로 신문에 소개했다.
아이는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더러운 인간이 되고 싶지 않았다"고 말했다.
우리 사회에선 저명인사들이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하고 증거가 드러나도
갖은 변명으로 책임을 회피한다.
그들의 마음속에 칸트처럼 빛나는
양심이 존재하기는 하는 걸까.
정직한 사람이 바보 취급을 당하는 환경에서,
한국의 '철자영웅'이 태어날 수 있을까.
마음이 천근처럼 무거워지는 오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