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리더의 ‘징비의식(懲毖 意識)’

우현 띵호와 2021. 9. 9. 01:15

리더의 ‘징비의식(懲毖 意識)’

‘역사의 연구’를 집필해서 순식간에 세계의 지식인으
로 평가받은 ‘아놀드 토인비’는
역사를 연구해 보면 민족의 유형이 크게 세 가지 있다고 주장했다.

● 민족의 유형 3가지
첫 번째는 재난을 당하고도 대비하지 않는 민족,
두 번째는 재난을 당해야만 준비하는 민족,
세 번째는 재난을 당하지 않고도 미리 대비하는 민족들이라 했다.
대한민국은 어디에 해당 될 것인가. 스스로 질문해 보기 바란다.
‘징비록(懲毖錄)’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조선 선조

영의정과 전쟁 수행의 총 책임자를 지낸 유성룡(柳成龍,1542~1607)이

집필한 임진왜란 전란사(戰亂史)로서,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7년에 걸친

전란의 원인, 전황 등을 기록한 책이다.
징비록(懲毖錄)은 저자인 유성룡이 자리에서

물러나 낙향해서 집필한 것으로,
제목인 '징비'는 ‘시경(詩經)’ 소비편(小毖篇)의

"예기징 이비역환(豫其懲而毖役患)",
즉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는

구절에서 따 온 것이다.
‘징비록’에서 유성룡은 수많은 인명을 앗아가고 비옥한

강토를 피폐하게 만든 참혹했던 전화를 회고하면서,
다시는 같은 전란을 겪지 않도록 지난날 있었던

조정의 여러 실책들을 반성하고
앞날을 대비하기 위해 ‘징비록’을 저술하게 되었다 고 밝혔다.

온 산천이 피로 물들고, 계곡마다 하얀 시체가 산더미 처럼 쌓였고,
시체 썩은 물과 피물이 계곡을 흐르고,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는

그 참혹한 전란이 다시는 조선에서 반복해 일어나지 않도록

경계하라고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썼다.
이렇게 목적의식을 가지고 전쟁의 최고 책임자가 집필하여 썼지만

정말 아이러니 하게도 이 책은 조선에서 편찬되지 못하고

침략국 일본에서 편찬되었다는 것 또한 슬픈 일 중의 하나다.

17세기에 대마도에서 먼저 읽히고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어느 역사학자가 조선의 역사가 5,000년이라고 하나 그동안 조선이

외침을 받은 횟수는 무려 938번이라고 한다.
평균으로 5.3년마다 한 번씩 외침을 받았다는 결론이다.
조선은 왜 이렇게 외침을 많이 받았을까?

참으로 불행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토인비가 말한 첫 번째 민족유형이기 때문이다.
재난을 당하고도 대비하지 않는 민족이다.
참혹한 임진왜란이 끝나고 또 얼마 되지 않아 조선은
또 다른 치욕의 참혹한 전란에 휩싸이게 되었고 강산이 초토화 되었다.

바로 병자호란이다.
징비록에서 그렇게 미리 준비하고, 준비해서 또 그런 비극이

없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도 준비하고 대비하지 못한

지도자와 리더들의 무능과 무기력을 통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로부터 한참 뒤에는 아예 나라가 통째로 없어졌다.
그래서 우리는 참혹한 비극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리더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왜 이렇게 당해야만 하는가를 분석하고 연구하고 다시는 이런 역사를

반복해서 당하지 않도록 대비해야 되는 것이 리더의 역할이다.

그 것이 징비(懲毖)다.
일제 강점기 비극을 보더라도 왜 강점을 당했는가?
강점한 자들도 문제가 있지만 강점당한 자들은 문제가 없었는가?
오죽이나 못났으면 맨날 당하고 울고만 있었는가?
외교 분야에서 40년을 지낸 퇴역 외교관은 국제관계는 80%가

힘(power)이고,20% 정도가 법(law)이라 했다.
그걸 모르는가? 나라를 고스란히 상납한 자가 군주였고,

강탈당한 것이 아니항복한 것 아닌가?
왜 항복해야 했는가? 힘이 없어서다. 왜 힘이 없는가?

준비하지 않았으니 그렇다.
75년이 지난 지금도 친일파니, 죽창가니, 토착왜구니 등의

어설픈 감성적 말로 국민들을 선전, 선동하고 표를 위해

편 가르기와 같은그런 어리석은 짓거리를 할 것이 아니라

역사에 대해 뼈저린 반성을 하고, 무엇이 잘 못된 것인지

다시는 반복해 당하지 않기 위해 징비(懲毖)를 해야 될 역할이

리더의 역할이다.

역사를 보면 이 나라 리더들은 세상과 주변 나라들의 변화를 읽지도

못하고 미리 준비도 못한 무책임한 지도자의 모습들이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그러한 무능의 역사와 무능한 자들

지금도 지배자가 되니 더욱 가혹한 안타까움과 자괴감을 떨쳐버릴 수 없다.

무능과 무책임, 그러고도 사익만을 추구하는 리더들의 DNA 성향이

그리 쉽게 달라지겠는가.
기원 전 로마 시대의 철학자 ‘세네카’는 “평화를 얻으려고 하면

전쟁을 준비하라”고 역설했다.
평화는 결코 구걸해서 얻는 것이 아니다. 어설픈 상념이

말장난으로는 나라와 민들을 지킬 수 없다.

또 나라 경영의 책임을 진 리더가 ‘애완 비즈니스(Pet Business)’처럼

자기가 좋아하는 짐승을 키우듯이 좋아하는 것만을 하면 결코 리더가 아니다.

그건 어린 아이들이나 하는 짓이다.
지금은 AI가 세상을 지배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다.
정말 예측할 수 없는 시대를 살고 있다.

오늘 징비하고 준비하는 것에 의해 바로 미래가 결정된다.
미래를 구하는 것은 미래가 아니고 현재다.

대한민국에는 미래를 말하는 자가 없다.
그런데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고르게 퍼져있지 않을 뿐이다.
지금부터라도 미래를 징비하는 지혜로운 리더들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이 맺어준 인연  (0) 2021.09.09
그대 참 고마운 사람  (0) 2021.09.09
승자와 패자  (0) 2021.09.09
인생은 변화무상하다  (0) 2021.09.09
말 한마디의 중요성  (0) 2021.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