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 5

당신 큰 며느리 덕분에 내가 오늘 잘 먹고 가네..

口傳설화 당신 큰 며느리 덕분에 내가 오늘 잘 먹고 가네.. 옛날 어느 집에 아들 삼형제가 있었는데 모두 장가를 들여서 며느리 셋을 봐가지고 세간을 내지 않고 한 집에 데리고 살고 있었습니다. 첫째 며느리는 병약하여 아직 손자를 낳지 못하고 있으나 둘째와 세째 며느리는 모두 건강하여 벌써 손자들을 한둘씩 낳았습니다. 하루는 해가 저물어 날이 어둑어둑해질 무렵에 과객이 한 사람 찾아 들었습니다. "주인 계시오." "예-, 그 누구시오?" "길 가는 나그넨데 하룻밤만 쉬어갈 수 없겠습니까?" "예, 들어 오시오." 주인의 호의로 과객은 사랑에서 주인과 함께 하룻밤을 편안하게 자게 되었습니다. 저녁상을 물리고 두 사람은 이런저런 이야기를 주고 받다가 밤이 깊어서 함께 잠이 들었습니다. 초저녁잠에 취해서 깜빡 ..

설화 2023.10.29

청바지 탄생 비화

청바지 탄생 비화 오늘날 최고의 의류로 꼽히는 것은 단연 청바지일 것입니다. 청바지에는 '오무주의 (五無主議)'라는 사상이 베어 있다고 합니다. 계급, 연령, 계절, 성별, 국경의 구별이 없이 세상의 모든 사람이 편하게 입을 수 있는 옷이란 뜻입니다. 청바지는 1873년 5월 20일 청바지 제작 특허를 받은 후 지금까지 35억장(개)이상이 팔렸고 지금도 이념에 관계없이 5대양 6대주의 모든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옷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전 세계 젊은이들이 즐겨 입는 청바지는 사업에 실패하여 극한 절망에 빠진 사람이 실패를 기도로 딛고 일어선 발명품입니다. 미국서부에 황금광산이 발견되면서 금을 캐러 많은 사람들이 샌프란시스코로 모여들었고 전 지역이 광부들의 거처인 천막촌으로 변해갔습니다. 청바지를..

설화 2023.10.24

근대 한국어·중국어 중 단어 75%가 일본어다

근대 한국어 중국어중 단어 70-75%가 일본어다 제목을 읽는 순간 많은 독자들은 고개를 갸우뚱할 것이다. 어찌 이런 일이 가능할까. 한국어, 중국어의 근대 단어 중 70%가 일본어라고? ​ 좀더 분명히 말하면 근대 중국어, 한국어 중의 인문사회 관련 용어의 60-75%가 일본어에서 수입해온 것이다. 흔히 우리는 문명대국 중국이 (조선을 통해) 일본으로 문명을 전달, 전파했다는 인식에만 사로잡혀서 근대 100여년 전 문명의 우열이 역전된 점은 망각하기 일쑤다. 사실 근대의 단어, 명사들은 한자어의 형태로 일본에서 우선 새롭게 완성되고 다시 역으로 중국 대륙과 조선 반도에 수출됐다. ​ 우리가 현재 아무렇지도 않게 사용하고 있는 한자어 단어는 중국에서 만든 것이 아니라 그 70%가 일본에서 만들어진 신명사..

설화 2023.08.09

報恩 (보은)

報恩 (보은) 조선 영조 때 서울 정동에 고려 말 충신 이색의 14대손 이사관(1705~1776)이 살고 있었다. 승정원 동부승지 벼슬을 하다 물러나 한가한 생활을 하던 그는 급한 볼일이 생겨 고향인 충청도 한산에 가게 되었다. 갑자기 몰아치는 눈보라에 눈을 뜰 수 없을 지경이었는데 예산 근처에 이르렀을 때는 유난히 기온이 떨어져 얼어 죽을 지경이었다. 눈을 헤치며 걸음을 재촉하던 이사관이 어느 산모퉁이에 돌다보니 다 헤진 갓에 입성마저 추레한 한 선비가 쩔쩔매며 서있고 그 옆에는 부인인 듯한 젊은 여인이 무언가를 끌어안고 쪼그려 앉아 있었다. 이사관이 다가가 보니 놀랍게도 아기 울음소리가 들렸다. 이사관이 ‘’뉘신지 모르겠으나 여기서 왜 이러고 계시오?” 라고 물으니 추레한 선비가 안절부절하며 ‘’아내..

설화 2023.05.04

보은 [報恩]

보은 [報恩] ​한 가장이 가난을 비관하여 죽기위해 깊은 산속으로 들어갔습니다. 장소를 찾고 있는데 어디선가 아름다운 여인이 나타났습니다. 그녀는 남자를 위로하며 그녀의 집으로 안내하였습니다. 그녀는 맛있는 음식을 대접하며 남자에게 제의하였습니다. 저도 남편이 죽고 혼자의 몸이니 죽지말고 저와 행복하게 삽시다." 남자는 어차피 죽을려고 한 마당에 거절할 이유가 없었습니다. 아름다운 여인과의 깨가 쏟아지는 시간이 몇 달간 지속되었습니다. 어느 날 남자는 정신을 차리고 두고온 식구들을 걱정하었습니다. 집이 걱정된다는 남자의 말에 여인은 서운했지만 이해를 하였습니다. 눈물을 흘리며 꼭 돌아오라고 말하는 여인을 뒤로 하고 남자는 산을 내려와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자신의 집은 걱정했던 것과는 달리 잘살고 ..

설화 2023.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