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여반장(如反掌)

우현 띵호와 2022. 8. 9. 22:53

여반장(如反掌)

손바닥을 뒤집는 것 같다, 아주 쉬운 일 
[같을 여(女/3) 돌이킬 반(又/2) 손바닥 장(手/8)]
 
아주 쉬운 일을 비유하는 많은 말 중에서 자주 쓰는 말은

‘땅 짚고 헤엄치기’나 ‘누워서 떡 먹기’일 것이다.

하지만 너무 쉽게 가려다가 코 다치거나 체할 수 있다.

‘떡을 누워서 먹으면 콩가루가 떨어진다’고 한역한 속담

餅臥喫 豆屑落(병와끽 두설락, 屑은 가루 설)도 있다.
 
손쉬운 것을 이를 때의 한자성어는 주머니 속 물건 꺼내는 囊中取物(낭중취물),

손바닥에 침 뱉기처럼 쉽게 얻는다는 唾手可得(타수가득),

태산으로 알 누르기 泰山壓卵(태산압란)처럼 아주 많다.
 
이 많은 중에 역시 가장 쉬운 일은 손바닥을 뒤집는 것과 같다는 이 말이다.

이것이야말로 힘이 안 들어간다.

쉽다는 말이 붙은 易如反掌(이여반장)의 준말이다.

後漢(후한) 초기 역사가 班固(반고)가 지은‘漢書(한서)’에서 유래한

이야기를 보자.

劉邦(유방)의 조카인 劉濞(유비, 濞는 물소리 비)는 6대 景帝(경제)때
吳王(오왕)에 봉해졌으나 세력을 모아 吳楚(오초)칠국의 난을 일으켰다.
 
이 때 저명한 문인 枚乘(매승) 이란 사람이 성공하기 어렵다며 건의했다.

‘하고자 하는 바를 바꾼다면 이는 손바닥을 뒤집는 것보다 쉬운 일이며

태산처럼 안정될 것입니다

(變所欲爲 易於反掌 安於泰山/ 변소욕위 이어반장 안어태산).’

유비는 이 말을 듣지 않았다가 진압군에 피살되었다.
 
같은 의미를 가진 反手(반수)는 이보다 앞서 ‘孟子(맹자)’에게서 나왔다.

제자 公孫丑(공손추)가 스승에게 자리가 주어진다면 齊(제)나라의

管仲(관중)이나 晏嬰(안영)과 같은 공을 이룰 수 있겠는지 물었다.

맹자는 질문에 언짢아하면서 답한다.
 
‘제나라로서 왕업을 이루는 것은 손바닥을 뒤집는 것과 같다
(以齊王 猶反手也/ 이제왕 유반수야).’

맹자는 안정된 대국인 제나라에서 인정을 베풀어 통일된 나라를

이끄는 것은 아주 쉽다고 본 것이다.
 
손바닥을 뒤집는 일이 쉽다고 어느 때나 아무렇게나 뒤집었다가는

손가락질 당할 일이 많다.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란 말대로 불리한 상황에 닥쳤을 때

이전의 소신은 간데없이 손바닥을 뒤집는다면 누가 우러러보겠는가.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여순화 (顔如舜華)  (0) 2022.08.11
판축반우(版築飯牛)  (0) 2022.08.10
일수사견(一水四見  (0) 2022.08.08
운근성풍(運斤成風)  (0) 2022.08.08
피갈회옥(被褐懷玉)  (0) 2022.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