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불허전(名不虛傳)
이름이 헛되이 전해진 것이 아니다.
[이름 명(口/3) 아닐 불(一/3) 빌 허(虍/6) 전할 전(亻/11)]
이름 名(명)이란 글자는 저녁 夕(석)자 아래에
말하는 입 口(구)를 받쳐 어두운 밤에는 사람이
보이지 않아 입으로 이름을 부른다는 뜻에서 나왔다.
구분하기 위해 나온 이름은 자연의 것이 아니지만
이름을 붙여주지 않았으면 아무 의미도 지니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김춘수 시인은 ‘꽃’에서 자신에게 무의미한
존재였던 것이 이름을 불러 주자 꽃과 같이 의미 있는
존재로 다가왔다고 노래했다.
존재의 이유인 이름을 그래서 더럽히지 않아야 한다고
豹死留皮 人死留名(표사유피 인사유명/
표범은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이름을 남긴다)이란
좋은 말도 남았다.
보람 있는 일을 남겨 立身揚名(입신양명)하는 것이
효라 생각한 선인들은 더구나 惡名(악명)이나
汚名(오명)이 남을까 두려워했다.
이름이 널리 퍼졌을 때 그러한 명성이나 명예가 헛되이
전해진 것이 아니라는 이 말은 모두 이름날 만한 까닭이
있음을 가리킨다.
司馬遷(사마천)이 ‘史記(사기)’에서 몇 가지 예를 들었다.
戰國時代(전국시대) 각 제후국에서 세력을 떨친
戰國四公子(전국사공자) 중에서 孟嘗君(맹상군)이 잘 알려졌다.
그는 인재들을 후하게 대접하여 식객이 3000명이나 됐고
하찮은 재주를 가진 사람들도 내치지 않아
鷄鳴狗盜(계명구도)의 성어까지 남겼다.
사마천이 열전 후기에서 ‘세상에 전하기를 맹상군이
객을 좋아하고 스스로 즐거워하였다고 하니
그 이름이 헛된 것이 아니었다
(世之傳孟嘗君好客自喜 名不虛矣/
세지전맹상군호객자희 명불허의)’고 좋게 평했다.
떠돌이 건달이지만 신의를 지키고 남을 위했던 협객들을
특별히 모은 游俠(유협)열전에도 언급한다.
漢(한)나라 이후 유명했던 朱家(주가) 劇孟(극맹) 郭解(곽해) 등의
협객들은 때로 법에 저촉되기도 했지만 남을 위하고
품성이 깨끗했다면서
‘그들의 명성은 결코 거짓으로 이뤄진 것도 아니고,
선비들이 이유 없이 그들을 따랐을 리 것도 없다
(名不虛立 士不虛附/ 명불허립 사불허부)’고 칭찬했다.
실력에 걸맞은 이름을 떨치는 사람들이 각계에
포진하고 있겠지만 예로 칸 국제영화제서의
켄 로치 감독을 들 수 있다.
80세의 영국 노장인 그는 빈곤층의 사회보장제도와
고용문제를 비판한 작품 ‘아이, 대니얼 블레이크’로
최고영예인 황금종려상을 받았다.
2006년에도 대상을 수상한 바 있고,
지금까지 13차례나 칸영화제에 초청됐다니 그 이력을 알만하다.
단지 노장으로서의 예우가 아니라 노동 계층의 현실을
통찰한 영화의 업적을 인정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