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서울이란 지명 유래(地名 由來)

우현 띵호와 2024. 8. 3. 00:15

서울이란 지명 유래(地名 由來)

우리나라 도시(都市)의 이름을 살펴보면

대개가 한자(漢字)를 사용하고 있다.

서울이라는 지명(地名)은

조선 건국 이후 개경(開京)에서 한양(漢陽)으로

도읍(都邑)을 옮긴 후 도시(都市)를 정비해 나가는

과정에서 유래(由來)하였다고 한다.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는 먼저 궁(宮)과

성(城)을 건축했는데 정도전(鄭道傳)과 무학(無學)은

종교적 사고(思考)와 유교적(儒敎的 ) 바탕을 앞세워

서로 강한 주장을 펼쳤다.

두 사람의 이러한 태도는

성역(城役)을 정하는 일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현재 청와대(靑瓦臺) 옆산인 인왕산(仁旺山)

북쪽에 선(禪)바위가 있는데

이 선바위를 성(城) 안쪽으로 하자는 무학과

성(城) 밖으로 하자는 정도전의 주장은

태조가 민망스러워 하리 만큼 팽팽했다.


그 바람에 다른 도성(都城)은 다 쌓았는데

인왕산 선바위 부근만 미완성으로 남았다.

두 사람의 의견 대립으로 공사가 진척되지 않던

어느 날 아침, 밤새 첫눈이 얼마나 많이 내렸는지

한양 땅이 모두 하얀 빛으로 뒤덮여 있었다.

아침 일찍 눈 구경을 하던 태조(太祖)는

落山 쪽을 바라보다 고개를 갸웃거렸다.
이상하게도 성 안쪽으로는 눈이 보이지 않고

바깥쪽에만 눈이 쌓여 있었던 것이다.

태조(太祖)는 별감(別監)들을 보내 보고 오라 하였다.

다녀온 별감들이 아뢰기를 성곽 밖으로만 눈이 쌓였고

안쪽은 맨땅이 드러나 있다고 하였다.

하도 기이한 일이라 태조는 하늘이 한양(漢陽)의

경계(境界)를 알려주려고 그러는가 보다 여기며

별감들에게 다시 궁궐(宮闕) 옆산 인왕산 선바위

주변을 살펴보고 오라고 하였다.

​다녀온 별감들은 선바위를 중심으로  안쪽은 눈이 없고

바위를 포함한 바깥쪽은 눈이 쌓였다는 것이었다.

태조 이성계는

정도전과 무학을 입궐케 하여 이 사실을 말해 주었다.

이로써 선바위 안쪽으로 성곽을 쌓게 되었는데

이날 내린 눈이 성곽(城郭 )안쪽과 바깥쪽의 경계를

뚜렷하게 제시해 주었다 하여 ( 雪)눈설. (鬱)울타리 울.

눈과 울타리란 뜻으로 설울(雪鬱)이라고 해서

1945년 해방 이후 雪鬱(설울)을 서울이란

세련(洗練)된 지명(地名)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산의 하피첩(霞帔帖)  (0) 2024.08.03
역사 공부는 애국의 첫 걸음입니다  (0) 2024.08.03
네 번째 영웅  (0) 2024.08.03
페르시아의 흠(Persia flaw)  (0) 2024.08.03
한국의 홀수문화  (0) 2024.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