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타인능해(他人能解)

우현 띵호와 2021. 7. 18. 23:21

타인능해(他人能解)

'타인능해'는
전남 구례에 있는''운조루''
의 쌀 뒤주 마개에 새겨진 글자입니다

아무나 열 수 있다는 의미로

운조루의 주인이 쌀 두가마니 반이 들어간
커다란 뒤주를 사랑채 옆 부엌에 놓아두고,

끼니가 없는 마을 사람들이 쌀을 가져가
굶주림을 면할 수 있게 했다는 이야기입니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직접 쌀을 퍼줄 수도 있겠지만
그 사람들의 자존심을 생각해 슬그머니 퍼갈 수
있게 했다는 것입니다.

그러한 배려는 운조루의 굴뚝에서도 드러납니다.
부잣집에서 밥 짓는 연기를 펑펑 피우는 것이
미안해서 굴뚝을 낮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뒤주는 열고 굴뚝은 낮춘 운조루는
6·25전쟁 때 빨치산의 본거지였던 지리산 자락
에 있었지만 화를 당하지 않았으니

대대로 나눔을 실천했던 정신이 운조루를
지킨 셈입니다.

얼마 전 서울 인사동의 한 식당에 들어갔더니
주문한 음식이 나오기 전에 떡부터 나왔습니다.
"웬 떡이냐?"고 물으니 "딸이 취직이 되어서

기쁨을 나누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고 보니 3년 전쯤에 이 식당에서 점심 값을
계산하려는데 오늘은 무료라며 돈을받지
않았던 기억이 났습니다.

“아, 그때요!
어머님과 함께 이 집에서 20년 동안 개성만두집을
운영했는데 그날이 어머님이 돌아가신지 49일이 되는
날이었어요.

그래서 그날 오신 모든 손님에게 무료로 만둣국을
대접했어요.
손님들께 감사하는 마음과 어머님이 좋은곳으로

가시길 바라는 마음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딸이 취직이 되었다면서
떡을 내놓은 것입니다.

좋은 일이나 궂은 일이나 이웃과 함께 나누고자 했던
우리 조상들의 넉넉한 인심이 떠오르며 타인능해
가 생각났습니다.

요즘은 나와 내 자식만 잘 살면 된다는 생각으로
나눔보다는 한 푼이라도 더 챙기려고 기를 씁니다.
또한 내 돈 내 맘대로 펑펑 쓰는 것이 무슨 상관이냐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우리 선조들은 자손을 위해서라도
이웃에 덕을 베풀었습니다.
재산을 물려주는것 못지않게
주변 사람들에게 좋은 일을 함으로써

그 덕이 자손에게 미치도록 했던 것입니다.

재산은 없어질 수 있어도 사람은 남는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습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중무권(執中無權)  (0) 2021.07.18
지사미타(至死靡他)  (0) 2021.07.18
자승가강 (自勝家强)  (0) 2021.07.18
인자무적 (仁者無敵)  (0) 2021.07.18
무신불립(無信不立)  (0) 2021.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