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화 김삿갓

방랑시인 김삿갓 (196)

우현 띵호와 2021. 9. 30. 23:16

방랑시인 김삿갓 (196)
*산다는 것은 무엇이며, 죽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

김삿갓이 물에 빠져 죽은 스님을 형식적으로나마 장사까지 지내 주고,

첩첩 산중으로 또다시 걸어가고 있노라니,

이번에는 어디선가 늙은이가 대성 통곡하는 곡소리가 들려왔다.

"아이고,아이고 ...이 무정한 친구야.

살아도 같이 살고 죽어도 같이 죽자던 자네가

나를 내버려 둔 채 혼자만 가버렸으니 이 무슨 기가 막힌 일이란 말인가 ! "
(응 ? 이게 무슨 소릴까 ?)

김삿갓은 길을 가다 말고, 귀를 유심히 기울여 보았다.

저편 골짜기에서 들려오는 넋두리는 분명 사람의 소리였다.

김삿갓은 소리가 들려오는 곳으로 부랴부랴 달려가다가

너무도 뜻밖의 광경에 기절초풍을 할 듯이 놀랐다.

높다란 벼랑 아래 풀밭에는 뼈와 가죽뿐인 호호백발 노인이 하나 쓰러져 있는데,

그와 똑같은 또래의 호호백발 늙은이가 시체를 부등켜안고

슬픈 목소리로 넋두리를 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여보세요, 어르신네 ! 이게 어찌 된 일이옵니까 ? "
김삿갓은 가까이 다가가, 노인과 시체를 번갈아 바라보며 물었다.

그러자, 호호백발 늙은이는 울음을 그치고

김삿갓의 얼굴을 물끄러미 바라보더니,

들릴까말까 한 목소리로 이야기를 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이미 시체가 되어 버린 정 노인과 정 노인의 죽음을 애통해하고 있는

윤 노인은 지금으로 부터 30여 년 전인 60대에 영생불사하는

신선이 되고자 속세를 떠나, 이곳 지리산에 들어와 영지버섯과

나무 열매, 풀뿌리 등, 오직 초식 생활을 해오며,

백 살이 가까운 오늘날까지 잘 살아오고 있었다.

그런데 오늘 아침에 정 노인이 영지버섯을 따려고 높은 벼랑에 올라갔다가,

그대로 벼랑에서 떨어져 즉사를 했다는 것이다.
노인은 거기까지 말하고 또다시 시체를 부등켜안고 넋두리를 계속했다.

"아이고, 아이고 ! 이 무심한 친구야.

어떤 일이 있어도 3백 살까지는 같이 살자고 하던 자네가

백 살도 다 못 살고 죽어 버렸으니 혼자 남은 나는 어쩌란 말이냐 ! "

김삿갓은 그런 넋두리를 듣고 입이 딱 벌어졌다.
지금 눈앞에서 넋두리를 하고 있는 늙은이는 목숨이 붙어 있으니까

사람이라고 말할밖에 없겠지만,

뼈와 가죽만 남은데다가 눈알만 반짝거리는 것이,

사람이라기보다는 귀신이라고 말하는 것이 옳을 것 같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2백 년을 더 살아갈 예정이라니

도데체 사람의 생명에 대한 욕심은 어디까지 가야 만족할 수 있단 말인가 ? ....

"돌아가신 노인께서는 올해 연세가 어떻게 되시옵니까 ?"
"이 사람이 나보다 세 살이 아래니까 올해 아흔여덟이지.

3백 살까지 살려면 아직도 2백 년이나 남았는데,

이 친구가 비명횡사(非命橫死)를 했으니 이런 원통한 일이 어디 있느냐 말일세."

김삿갓은 들을수록 놀랍기만 하였다.
사람이 백 년을 넘겨 살기가 매우 어려운 일인데,

윤 노인 자신은 이미 백 년을 넘겨 살아왔을 뿐아니라,

아흔여덟 살에 죽은 친구를 라고 말하고 있으니 그래도 말이 되는 것일까? ....

"아무려나 친구분이 돌아가셨으니까 매장을 해드려야 할 것이 아니옵니까 ? "
"물론 그래야지. 그러나 내가 기운이 없어 땅을 팔 수가 없네그려.

미안하지만 젊은이가 무덤 좀 파줄 수가 없을까 ? "

무덤을 팔 기운조차 없는 사람이 2백 살이나 더 살겠다고 하니 기가 막힐 노릇이었다.
김삿갓은 노인을 대신해 광혈(壙穴)을 손수 파 주는 수밖에 없었다.

이윽고 정 노인을 땅속에 묻게 되자,

윤 노인은 김삿갓에게 생각조차 못 했던 청탁을 하고 나왔다.

"여보게, 젊은이 ! 이 친구하고 나하고는 생사고락을 같이해 온 평생 동지라네.
이 세상에 살아 있는 동안에도 동지였지만,

우리 두 사람은 저승에서도 동지가 되기로 약속했단 말일세.

단짝 동지의 마지막 길을 그냥 보내기가 너무도 섭섭하니

자네가 혹시 글을 알고 있거든 만장(輓章)이나 한 틀 써주게나."

김삿갓은 웃음이 절로 나왔다.
"좋습니다. 마침 종이와 먹이 제게 있으니, 만장을 써드리기로 하지요."
그리고 김삿갓은 즉석에서 만시(輓詩) 한수를 써 갈겼다.

그대와 나는 살아서는 쌍동지였는데
(동지생전 쌍동지 : 同知生前 雙同知)

그대가 죽어 나는 외톨 동지가 되었네
(동지사후 독동지 : 同知死後 獨同知)

그대 단짝 동지인 나도 데려가 주게
(동지착거 차동지 : 同知 捉去 此同知)

이제는 저승에서 쌍동지가 되고 싶네
(지하원작 쌍동지 : 地下願作 雙同知)

윤 노인이 라는 말을 하도 많이 뇌까려대기에 김삿갓은

짓궂게도 일부러 라는 말만 가지고 만장을 써 주었다.

그리고 만장 속에는 이라는 뜻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윤 노인이 글을 볼 줄 알았다면 김삿갓을 죽이겠다고

덤벼들었을지도 모를 일 이었다.

그러나 윤 노인은 글을 모르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안 하고,

"자네도 나처럼 오래 살고 싶거든 이 산속에서 신선도를 닦으며

나와 함께 살면 어떻겠는가 ? " 하고 뚱단지 같은 소리를 한다.

김삿갓은 어름어름하다가는 윤 노인에게 붙잡혀 버릴 것만 같아,

부랴부랴 걸음을 옮겨 나가며 이렇게 말했다.

"아닙니다. 저는 갈 길이 바쁜 사람입니다."
김삿갓은 산길을 걸어 내려오며 마음 속으로 혼자 생각해 보았다.
(산다는 것은 무엇이며, 죽는다는 것은 무엇이기에

윤 노인은 생에 대한 애착이 이렇게도 강렬한 것일까 ?)

사람은 누구나 세상에 나오고 싶어서 나온 사람은 아무도 없다.
본인도 모르게 부모가 만들고 낳아 주셨으니까 사람으로 태어났을 뿐이다.
그렇게 인생의 출발은 본인의 의사와는 아무 관계도 없이 시작된 것이다.

그러면 죽음이란 어떤 것일까 ?

죽음 역시 자기 의사대로 되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오래 살고 싶어도 때가 되면 반드시 죽게 마련인 것이다.

그러기에 옛날부터 이라고 일러오지 않던가 ?
따라서 내 목숨은 틀림없는 나의 것이지만,

내가 태어나고 싶어서 이 땅에 나온 것이 아닌 것처럼,
아무리 오래 살고 싶어도 내 맘 대로 오랫동안 살 수 없는 것이

또한 사람의 생명이다.

우주의 입장에서 본다면,

사람은 하루살이와 같은 미물에 지나지 않는다.

조금전에 작별한 윤 노인은 3백 살까지 살고 싶어

지리산에 들어와 선도(仙道)를 닦는다고 하였다.

사람의 목숨이 자기 생각 대로 되는 것이 아닌 바에야

도를 닦는다고 과연 3백 살까지 살 수 있을 것인가 ?

설령 3백 살까지 산다손 치더라도 아무도 없는 산속에서

혼자 3백 년을 산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 것인가 ?

일찍이 어떤 시인은 고 하였다.
풀잎 끝에 달려 있는 아침 이슬은 해가 뜨면서

사라지는 슬픈 운명을 가지고 태어났다고 했다.

이렇게 영겁(永劫)의 시간 속에서 인간의 존재는 아침이슬 같은 존재이다.
이런저런 두서 없는 생각에 잠겨 길을 가던 김삿갓은 불현듯 ,

자신도 모르게 언문(諺文)
시조를 연달아 읊조렸다.

아침이슬
긴 밤 지새우고 풀 잎 마다 맺힌
진주보다 더 고운 아침 이슬 처럼
내 맘에 설움이 알알이 맺힐 때
아침 동산에 올라 작은 미소를 배운다
태양은 묘지 위에 붉게 타오르고
한 낮에 찌는 더위는 나의 시련일지라
나 이제 가노라 저 거친 광야에
서러움 모두 버리고 나 이제 가노라
네가 나를 모르는데 난들 너를 알겠느냐
한 치앞도 모두 몰라 다 안다면 재미 없지
바람이 불면 부는 날엔 바람으로
비 오면 비에 젖어 사는거지
그런거지 음음음 하하하
산다는 건 좋은거지 수지맞는 장사잖소
알 몸으로 태어나 옷 한벌은 건졌잖소
우리네 헛 짚은 인생살이 한 세상 걱정 조차 없이 살면
무슨 재미 그런게 덤이잖소
네가 나를 모르는데 난들 너를 알겠느냐
한 치앞도 모두 몰라 다 안다면 재미 없지
바람이 불면 부는 날엔 바람으로
비 오면 비에 젖어 사는 거지
그런거지 음음음 하하하
산다는 건 좋은거지 수지맞는 장사잖소
알 몸으로 태어나 옷 한벌은 건졌잖소
우리네 헛 짚은 인생살이 한 세상 걱정 조차 없이 살면
무슨 재미 그런게 덤이잖소
아 하하하....
아 하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