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연정 (聯政).
매일 티격 태격 싸우기만 하던 개같은
국회의원들이 개고기 식육 금지법 만은
만장 일치로 통과 시켰다 하니...
이른바 개 연정(聯政).
애견가 들의 눈치가 무섭긴 한가 봅니다.
개천에서 용(龍)이 나오는 시대가 아니라는데
‘개(犬)’는 지금이야 말로
‘개천에서 용 나는 세상’을 누리고 있습니다.
사람이 키우는 개는 분명 네발 짐승인데
사람이 받들어 모시는 대접을 받으니
이놈은 용이 된게 분명합니다.
걷기 싫다는 시늉을 하면 얼른
가슴에 품어 안고 이놈을 대접합니다.
이놈을 발로 찼다간 ‘학대했다’ 는 죄목으로
벌을 받거나 벌금을 내야 합니다.
옛날에 이놈은 섬돌까지만 올라올 수 있었지
마루까지 올랐다간 빗자루로 엉덩이를
사정없이 얻어맞고 마루 밑이나 마당으로
쫓겨 났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이놈이 사람보다 먼저 방으로
들어가 사람 자는 침대를 자기 잠자리로
차지하고 안아 주지 않으면 안달을 합니다.
이놈은 이제 반려동물이라고 하여
인권에 버금가는 법의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이놈은 무엇인가?
뽕밭이 상전벽해가 된다한들 개라는 짐승은
분명 ‘네발 짐승’입니다.
닭은 고기와 달걀을 얻기 위해서 키우고
돼지는 시장에 내다팔거나 돼지고기를
먹기 위해서 키우며, 소는 논밭갈이 시켜서
농사짓기 위하여 키워 왔습니다.
그리고 개는 집을 지키라고 키웠지만
사실 놀고먹는 놈이었습니다.
그래서 개를 두고 ‘개 팔자 상팔자’라고 했습니다.
그렇다고 유난스레 대접받았던 것은 아닙니다.
어디까지나 네발 짐승이었고, 사람이 먹다 남긴
음식 찌꺼기만 얻어 먹었습니다.
오죽하면 ‘개밥신세’라는 말이 생겼을까요?
이처럼 집 짐승이었던 개가 언제부터 인가
사람의 대접을 한 몸에 받는 견공 (犬公)이 되어
그야말로 ‘개 팔자 상팔자’라는 말이
현실화 되었습니다.
사람은 인권(人權)을 얻기 위하여 수백 년간
투쟁해 왔지만 개는 네발 하나 까딱 않고
견권(犬權)을 확보한 셈이니 그야말로
‘개 팔자 상팔자’ 라는 결코 틀린 말이
아니라는 생각 이 듭니다.
이제 ‘개 같은 놈’ 이니 ‘개 자식’ 이니
이런 욕지거리는 성립될 수가 없습니다.
옛날은 낱말 앞에 ‘개’ 가 붙으면 나쁜 말이 되었습니다.
먹는 꽃이 참꽃이고 못 먹는 꽃이면 개꽃이었습니다.
열매도 마찬가지입니다.
개 살구는 못 먹는 살구였고
못 먹는 버섯이면 개 버섯이라 불렀습니다.
망신 중에도 제일가는 망신을 두고
‘개 망신’이라 했습니다.
제일 못나고 나쁜 사람을 ‘개 자식’이라 했고
못된 짓거리를 하면 ‘개 같은 놈’ 이라는
욕을 먹었습니다.
이제는 개의 신분이 높을 대로 높아져
‘사람이 개를 모시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개 똑똑’ ‘개 이뻐’ ‘개 쩔어’ 처럼
‘개’ 자(字)마저도 좋은 뜻을 얻었으니
노인의 귀를 어리둥절케 합니다.
아무튼 ‘개 팔자 상팔자’라는 옛말이
맞아 떨어진 셈입니다.
요즘은 웬만한 공원에 가면 개 전용 사교장
운동장이 따로 있고 반려 동물 장례식장도
성황리 운용된다고 합니다.
하긴 정치권도 개딸들의 극성과 문자 폭탄이
두려워 국회의원들이 전전긍긍 하니 바야흐로
세상은 개판으로 변했습니다.
전직 대통령도 개달력으로 해마다 수억을 벌고
현직 대통령 부부도 여러 마리 개를 기르며
SNS에 올리고 있지요.
보신탕을 즐기는 필자로서는 어이가 없지만
그러나 세상의 변화는 또 적응해 가야 겠지요?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동권 정치인들 청산해야 하는 이유 (0) | 2024.01.27 |
---|---|
86권 운동은 가짜 민주화다 (0) | 2024.01.27 |
이재명 망언 때려라… (0) | 2024.01.24 |
공작당 함정공작에 놀아날 셈인가? (0) | 2024.01.24 |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0)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