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렌지에 절대 넣으면 안되는 10가지
전자렌지에 음식물을 넣고 돌릴 때는 전용 용기를
사용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제품 자체를 넣고 돌리는 것도 많이 출시되어 있어서
전자렌지에 넣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아무거나 막 넣고 돌리면 건강에 위험하거나 폭발을 할수있습니다.
오늘은 전자렌지에 넣으면 안되는 것과 음식을 알아볼께요.
1.계란
생계란 뿐만 아니라 껍질을 깐 삶은 계란도
전자렌지에 넣고 돌리면 폭발할 수 있습니다.
전자렌지에 계란을 넣고 돌리면 급격한
열기로 계란에서 많은 증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펑~소리와 함께 계란이 터져 버립니다.
그렇게되면 전자렌지 내부까지 더러워 지게 됩니다.
전제란지를 활용한 계란요리를 할때는전용용기에 담고
노른자까지 잘 풀어서 사용하길 권합니다.
2.컵라면
물을 끓이기 귀찮아서 컵라면에 물을 붓고 편하게
바로 렌지에 돌려서 먹는 분들이 있습니다.
많은 환경 호르몬을 같이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뜨거운 물을 넣고 기다리고 드시길 권합니다.
요즘에는 전자 렌지에 넣고 돌리는 제품도 있으니
반드시 체크한 다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3.가공육
가공육은 유통기한을 늘리기 위해서 각종
식품 첨가물과 방부제가 들어갑니다.
이성분들은 전자렌지 안에서 열을 가하면
건강을 해칠 우려가 매우 높다고 합니다.
국제 학술지 식품 관리 저널에 실린 확술지에서는
가공육을 전자레인지에 재가열 하게 되면 심장질환
광상 동맥 과 같은 병에 영향을 미치는 콜레스테롤
산화 생성물을 형성한다고 합니다.
4.고추
고추의 경우 전자렌지에 익히면 매운 맛을 내는
캡사이신이 빠져나와 화생방 훈련을 받는 것처럼
연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2016년 미국 뉴욕에 있는 아파트에서 고추를
전자렌지에 익혀 주민들 일부가 기침과 호흡곤란을 일으켜
911에서 출동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5.알루미늄호일
알루미늄 호일은 전자렌지에 넣고 약간만 돌려도
전자파와 반응해서 스파크와 불꽃이 납니다.
전자렌지에 쿠킹 호일,과자 봉지,라면 봉지 등의
알루미늄 성분은 넣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알루미늄 성분은 전자렌지의 마이크로파를 반사시키는
성질이 있어서 화재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6.테이크아웃용기
스티로폼,종이봉투,종이 박스 등의 형태로 음식을 담아주는
테이크아웃 용기를 전자렌지에 넣고 돌리면 타거나
녹을 수 있습니다.
화재 위험뿐만 아니라 유해 물질을 함께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에 좋지 안죠.
귀찮더라도 전자렌지 전용 그릇에 옮긴 다음 데워서
먹는것이 좋습니다.
7.밀봉된유리병
기본적으로 유리병이나 도자기는 전자렌지에 돌려도
안전하기는 하기는 하지만 밀봉을 한 상태로 돌리면
터질 위험이 있습니다.
뚜껑이 있는 제품이라면 반드시 뚜껑을 조금 열어 안에
수분이 빠져 나올 수 있는 구멍을 만들어 주는것이 좋습니다.
8.모유나분유
요즘에는 일하는 여성들이 많기 때문에 늘 모유를 먹일 수가 없어,
냉동실에 저장해 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렸던 모유를 다시 데워서 아이에게 먹이는데
이때 절대 전자렌지를 사용하심면 안됩니다.
모유의 단백질을 파괴할수있습니다.
모유는 반드시 중탕으로 데워주세요.
분유도 마찬가지입니다.
9.스테인레스금속류
캔이나 스테인레스 그릇 등을 넣고 돌리게 되면
렌지의 마이크로파를 흡수하는 것이 아닌 반사를 하게되어
불꽃이튐은 물론 심할 경우렌지가 폭발할 수도 있으니
절대넣지 말아야 합니다.
10.플라스틱 용기
플라스틱 용기를 넣으면 환경 호르몬도 나오고 용기가 녹습니다.
전자렌지용이 따로 나오는데 표기가 된 것은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은 플라스틱은 절대 넣으면 안됩니다.
특히 분식집 등에서 싸주는 1회용 용기는 바로 녹아버려서
음식 마저먹지 못하게 되니 안넣는게 좋습니다.
'건강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대저 토마토의 진실 (0) | 2022.04.27 |
---|---|
지구상 가장 장수(256년)한 사람의 장수비결 (0) | 2022.04.26 |
<뇌출혈>로 쓰러진 경우 엄지발가락만지면 기적을 일으킨다. (0) | 2022.03.20 |
이렇게' 자면 다이어트와 정력에 도움 (0) | 2022.03.20 |
장수하는 15가지 비결 (0) | 2022.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