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2

호유기미(狐濡其尾)

호유기미(狐濡其尾) 여우 꼬리가 물에 젖다, 시작은 쉬우나 마무리가 허술하다.[여우 호(犭/5) 젖을 유(氵/14) 그 기(八/6) 꼬리 미(尸/4)]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거들먹거리는 狐假虎威(호가호위)에서 보듯 여우는 교활의 대명사다. 교활한 사람을 비유하는 대명사이기도 한데 九尾狐(구미호)는 꼬리가 아홉 개나달린 여우로 살살거리는 여성을 지칭했다. 꼬리에 관한 성어는 龍頭蛇尾(용두사미)나 狗尾續貂(구미속초)처럼 보잘것없는마무리를 뜻한다. 다른 동물의 속담도 보자. ‘개 꼬리 삼년 묵어도 황모 되지 않는다(三年狗尾 不爲黃毛/ 삼년구미 불위황모)’, ‘노루 꼬리가 길면 얼마나 길까(獐尾曰長 幾許其長/ 장미왈장 기허기장).’ 그런데 몸매가 날씬한 여우는 주둥이가 길고 뾰족한데 비해 꼬리는 굵고 길어 그..

고사성어 2024.06.02

사브라(선인장)

사브라 (선인장) 이스라엘 부모들은 사랑하는 자녀에게,  너는 《사브라》 다  라고 부른 답니다.사브라는 선인장 꽃의 열매 이름이지요!!  선인장은 생명이 살기 어려운 악 조건에서 자라는 식물이죠.   사막의 혹독한 환경에서도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기까지는 10년 이라는 긴 세월을 참고 인내합니다.  지정학적으로 이스라엘은 처해 있는 척박한 환경 속에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으려면 오래 참고 인내해야만 하는 나라인데요.  유대인들이 자녀를 사브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합니다.   어려서 부터 댓가없는 성공에 대한 환상을 내려놓고,  《심는 대로 거둔다!!》 는 인생의 법칙을 가르치는 유대인들의 智慧 입니다  어느 한 철 찬란히 피어나는 선인장 꽃은 모든 잎을 가시로 바꾸면서까지 끝끝내 지..

좋은글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