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랑시인 김삿갓 (54) *아들에 이어 마누라를 잃은 사내를 위로하며 ..(人生無想)
오진사 집을 떠나 온 김삿갓은 원주(原州)를 향해 걸어갔다.
때는 가을이 짙어져 산길 사이에 산들 바람이 제법 차갑게 느껴졌고,
하늘가에는 어느새 기러기가 "끼룩"대며 떼지어 날아 다니고 있었다.
김삿갓은 아침부터 스산한 기분이 들던 차에,
갑자기 당나라 시인 유우석의 시가 머리에 떠 올랐다.
가을 바람은 어디서 부터 불어 오는가
솔솔 불어 기러기 떼를 보내네
아침부터 나무를 흔드는 바람소리
외로운 나그네가 먼저 듣노니.
何處秋豊至 (하처추풍지)
蕭蕭送雁群 (소소송안군)
朝來入庭樹 (조래입정수)
孤客崔先聞 (고객최선문)
한참을 걸어가다 보니 사십쯤 되어 보이는 사나이가
새로 만든 듯한 무덤 앞에 엎드려 통곡하는 것이 보였다.
인정 많은 김삿갓은 그냥 지나쳐 버릴 수가 없어
사나이 옆으로 다가가 말을 걸었다.
"이보시오. 누가 돌아가셨기에 이리도 섦게 우시오."
그러자 눈물 콧물로 얼굴이 범벅된 사나이가 고개를 들며
울음 섞인 목소리로 호소하듯 대답한다.
"얼마 전에는 자식이 죽었는데 ,
이번에는 마누라가 또 죽었으니 이 일을 어쩌면 좋단 말이오."
김삿갓은 말만 들어도 가슴이 뭉클해 왔다.
천지간에 가족을 잃은 슬픔이야 그 어떤 슬픔에 견주랴,
생각한 삿갓은 사나이를 이런 말로 위로했다.
"인생이란 누구나 죽는 것이니 , 마음을 너그럽게 가지고 고정하시오.
불가(佛家) 에서는 사람의 삶을 윤회(輪廻)로 보아 돌고 도는 것이라 하지 않소 ?
그렇게 생각하면, 죽음이란 반드시 슬퍼만 할 일은 아닐지 모르오."
사나이는 잠자코 삿갓의 말을 듣기는 하였으나,
지금 그의 슬픔은 몇 마디 말로써 위로가 될 것 같지 않았다.
이에 김삿갓은 즉흥시 한 수를 그의 앞에서 읊어 주었다.
아들이 죽은 뒤에 마누라가 또 죽으니
찬바람 해걸음이 처량키 그지없네
돌아온 집안은 절간처럼 쓸슬하여
찬이불 품에 안고 혼자서 밤새 울리 ..
哭子靑山 叉葬妻 (곡자청산 차장처)
風酸日薄 轉凄凄 (풍산일박 전처처)
忍然歸家 如僧舍 (인연귀가 여승사)
獨擁寒衾 坐達鷄 (독옹한금 좌달계)
인간의 삶이란 것이 희노애락이 끊임없이 반복되고 교차되다 보니,
어느 순간에 슬픈 일이 닥치는 것일 진데,
하필이면 아들이 죽은 뒤에 연달아 마누라가 죽은 일은,
누가 보아도 애달픈 일이며 당사자가 겪는 슬픔은 어찌 말로 다 표현을 하랴 싶었다.
김삿갓은 어떡하든 그를 위로해 주고 싶은 마음에서 이렇게 말을했다.
"그만 울고 돌아 갑시다.
혼자 집으로 돌아 가기가 쓸쓸할 테니,
오늘밤은 나하고 댁에서 같이 지내면 어떻겠소 ?"
김삿갓은 어차피 남의 집 신세를 져야 할 판이었기에
이왕이면 하룻밤을 그와 함께 지내면서 마음껏 위로를 해주고 싶었다.
그러자 사나이는 고개를 저으며 말을했다.
"위로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러나 나는 딸을 잃은 슬픔에 잠겨있을
장모님이 계셔서 처갓집으로 가야 합니다."
그러고 보니, 사나이는 아내를 잃은 자신의 슬픔도 크지만,
사랑하는 딸을 잃은 장모님의 슬픔을 헤아리는 갸륵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고 나서 사나이는, 김삿갓의 배려가 고마웠던지,
다시 이렇게 말을 하는 것이다.
"저 고개를 넘어가면 초시댁이라는 집이 있소.
칠십 넘은 노파 혼자 살고 있는 집이오.
혹시 그곳에 가신다면 오늘 하루밤을 쉬어 가실수 있을것 입니다."
사나이는 비통한 가운데 이렇듯 길에서 만난
나그네의 잠자리 걱정까지 해주는 것이었다.
김삿갓은 고맙다고 말을 하며
사나이에게 어서 아내를 잃은 슬픔을 추스릴 것을 당부하고
고개를 향해 발걸음을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