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이군삭거(離羣索居)

우현 띵호와 2024. 8. 3. 00:12

이군삭거(離羣索居)

무리를 떠나 홀로 쓸쓸하게 지냄.      
[떠날 리(隹/11) 무리 군(羊/7) 찾을 색,

노 삭(糸/4) 살 거(尸/5)]
 
‘가장 강한 인간은 혼자 사는 고독한 사람’이라는

서양 격언이 있지만 고독을 즐기는 사람은 드물다.

가장 무서운 고통이 고독이라는 말도 있으니까 말이다.

어떠한 심한 공포라도 함께 있으면 견딜 수 있다고 했다.

잘 나가다가 끈 떨어져 세력을 잃으면 외로운 신세라는

뜻의 ‘날 샌 올빼미신세’가 된다.
 
적군 속에 고립된 성과 서산으로 지는 해라는

의미의 孤城落日(고성낙일)은 세력이 다하고

남의 도움도 바랄 수 없는 매우 외로운 처지를 가리킨다.

함께 있던 무리를 떠나(離羣) 홀로 쓸쓸히 지낸다(索居)는

이 성어도 고독하기는 마찬가지다.

離索(이삭)이라 줄여 말하기도 한다.
 
이 말은 孔子(공자)의 제자 子夏(자하)와 관계있다.

공자와 고락을 함께 하고 각 분야에서 뛰어난

10명의 제자를 孔門十哲(공문십철)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포함되는 자하는 문학에서 뛰어났다.

西河(서하)라는 지역에서 제자들을 길렀고

魏文侯(위문후)의 스승이기도 했다.

그런데 자하라고 하면 喪明之痛(상명지통)의 성어가

떠오를 만큼 아들을 먼저 보낸 불행도 겪었다.
 
자식을 먼저 보내고 너무나 슬픈 나머지

시력을 잃는 고통을 견뎌야 했다.

天崩(천붕), 地崩(지붕)이라 일컫는 부모상보다

평생 가슴에 새겨지는 자식의 죽음이 더 아프고

오래 간다는 말이다.
 
자하가 아들을 보내고 오랫동안 통곡하여

시력까지 잃었다.

역시 공자의 제자로 효행으로 이름 높은

曾子(증자)가 조문을 왔다.

증자가 벗이 시력을 잃으면 그를 위해 곡을

해야 한다고 들었다며 서럽게 곡을 했다.

이 말을 듣고 자하는 자신은 죄가 없는데

이런 불행을 안겨 주었다고 하늘을 원망하며
더욱 섧게 울었다.
 
그러자 증자는 서하의 백성들이 스승을 의심하게 했고,

부모상을 당했을 때보다 더 애통해했고,

자식 잃고 시력을 잃을 정도로 슬퍼하니 죄가 크다고 했다.

그러자 자하가 뉘우쳤다. ‘내가 잘못했네,

내가 벗들을 떠나 너무 오래 혼자 생활했으니 이리 되었네

(吾過矣 吾離群而索居 亦已久矣/

오과의 오리군이삭거 역이구의).’ 유가의 경전

‘禮記(예기)’ 檀弓(단궁) 상에 나온다.
 
혼자서도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이 분명 있다.

이런 사람의 능력을 한 곳으로 집중시키면

더 큰 업적을 낼 수 있다. 하지만 나만 잘 났다고

상대와 협력할 뜻이 전혀 없다면 모두가 손해다.

팽팽히 맞서기만 하는 정치권에서 많이 본다.

더 외로워봐야 알 듯하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인각심  (0) 2024.08.03
새옹지마(塞翁之馬)  (0) 2024.08.03
노기복력(老驥伏櫪)  (0) 2024.08.03
작정산밀(斫正刪密)  (0) 2024.08.03
자한사보(子罕辭寶)  (0) 2024.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