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음은 질이 아니라 량이다
걷는 속도보다 얼마나 걷는 지가 장수를 결정한다.
걷기가 사망율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는 그간 주로
노인이나 만성 질병이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일반인에게서 걷기가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객관적으로 확인한 논문은 별로 없었다.
최근 미국 의사 협회지에 미 국립 암 연구소가 주도적으로 수행한
걷기와 장기간 사망율과의 관계를 분석한 본문이 실렸다.
연구에서는 40세 이상 미국인 4,840명을 대상으로
몸에 속도계를 부착시키고 일주일간 매일 몇 보를 걸었는지
조사한 후 사망율을 10년에 걸쳐서 분석했다.
그 결과 참여자 들의 평균 걸음 수는 매일 9,124보였는데
1). 4,000보 미만 걷는 경우는 1,000명 중
사망자가 76.7명꼴 이었다.
2). 4,000~8,000 미만 걸음을 걷는 경우는
사망자수가 21.4명으로 낮아 졌고
3).8,000~1만2,000 미만 걸음을 걷는 경우는
사망자수가 6.9명으로 더 줄었다.
4). 그 이상을 걷는 경우는 사망자수가 4.8명에 불과했다.
하루에 4,000보 걷는 경우와 비교 해서 8,000보를 걸으면
사망율이 51% 낮아지고 1만2,000보를 걸으면 65%나 낮출 수 있었다.
걷는 속도가 빠를수록 사망율도 낮아졌지만 빠른 걸음에 의한
효과는 실제로 매일 걷는 보행후에 의한 효과로 밝혀졌다.
이 연구로 하루에 만보를 걸으면 건강에 좋다는 속설
이 실증적으로 증명됐다.
휴대전화기에 만보기 기능이 있어서
하루에 얼마나 걸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5,000보 이하는 문제가 있다.
이 연구로 얼마나 빨리 걷는지보다 하루에 최소한 8,000보 이상은
걷는 게 장수 지름길인 것을 알게 됐다.
우리 모두 하루에 만 보 이상 걸어보자.
'건강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지혈증에 특효 음식 15가지 (0) | 2022.07.13 |
---|---|
평생 암(癌)걱정없게 해주는 한국인의 음식 총정리 (0) | 2022.07.13 |
소금 이야기 (0) | 2022.07.10 |
"장수유전자로 늙지 않고 젊어져요" (0) | 2022.07.09 |
독약보다 더 무서운 스트레스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