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치폐설존(齒弊舌存)

우현 띵호와 2022. 10. 17. 20:20

치폐설존(齒弊舌存)
중국의 사상가 이며, 도가 철학의 시조인 "노자" 가
눈이 많이 내린 아침 숲을 거닐고 있었다.

그때 어디선가 들리는 요란한 소리에
노자는 깜짝 놀랐다.

노자가
고개를 돌려 쳐다보니 굵어 튼튼한 가지들이
처음에는 눈의 무게를 구부러짐 없이
지탱하고 있었지만,

점차 무거워지는 눈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
요란한 소리를 내며 부러져 버렸다.

반면 이보다 가늘고 작은 가지들은
눈이 쌓임에 따라 자연스레 휘어져 눈을
아래로 떨어뜨린 후에 다시 원래대로 튀어올라
본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를 본 노자는 깊이 깨달았다.
저 나무가지처럼 형태를 구부려 트리고
변화하는 것이 버티는 것보다
훨씬 더 나은 이치로구나.

부드러움은 단단함을 이긴다.
부드러운 것은 자신을 낮추는 것을 의미한다.

벼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이듯,
자신을 낮춰 상대의 의견을 존중하는 사람이야 말로
세상을 이기는 지혜로운 사람이다.

노자가 평소에 공경하여 따르던 "상용"이 노환으로
자리를 보전하게 되었다.

그때 노자가 그를 찾아가 마지막 가르침을 청했다.
그러자 상용은 갑자기 입을 쩍 벌렸다가 다물고는 물었다.

"내 이가 아직 있는가"?
"없습니다"

그는 다시 입을 벌렸다 다물며 물었다.
"내 혀는 있는가"?
"있습니다"

잠시 침묵하던 상용이 말했다
"내 말을 이해 하겠는가?

노자 왈
"단단한게 먼저 없어지고, 부드러운 게
남는다는 말씀 아니겠습니까"?

상용은 고개를 끄덕이며
"그렇네, 천하의 이치가 모두 그 안에 있다네."

이것이 '치폐 설존(齒弊舌存)'
이라는 고사성어의 유래이다.

강함보다 부드러움으로 사람을 대하면
돈독한 정으로 돌아온다는 뜻이다.

부드러움이 억셈을 이기고, 
약함이 강함을 이긴다ᆢ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차불피(樂此不疲)  (0) 2022.10.20
안도색기(按圖索驥)  (0) 2022.10.19
죄인불노(罪人不孥)  (0) 2022.10.17
유지자 사경성(有志者 事竟成)  (0) 2022.10.17
애석촌음(愛惜寸陰)  (0) 2022.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