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동글

일편단심 민들레야

우현 띵호와 2022. 11. 30. 16:30

일편단심 민들레야 

민들레!!
밟혀도 밟혀도 끈질긴 자생력으로 금빛 찬란한 꽃을 피우는 야생화.
민들레의 근성(根性)은 일편단심.  

이 꽃은 큰 뿌리 하나를 곧게 땅속 깊게 내리고

옆으로 실뿌리가 뻗어 있으나 가늘고 빈약하다.
그러나 큰 뿌리 하나가 땅속 깊게 뿌리를 내림으로서

바람에 흔들려도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조용필은 1981년 ‘일편단심 민들레야'를 발표한다.

그런데 이 노래의 작사자가 이주현이라는 여성이다. 
 
당시(1981년) 72세의 이여사는 납북된 남편을 그리워 하며 쓴

자전적인 이야기를 신문에 투고했는데 이를 본 조용필이

가사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고 한다.  
 
그리고 글을 가사로 다듬어 노래로 탄생한 것.

그녀의 사연은 이러했다.  

50여년 전 그녀는 동아일보 국장이던 남편과 결혼했다.

그러나 남편이 한국전쟁 때 납북되는 바람에 홀로 3남매를 키우며 살았다.  
 
노점 좌판 등을 하며 어렵사리 살아온 그녀는 평생 모은 돈을

남편이 다닌 동아일보에 기부해서 남편 이름을 붙인

<수남 장학금>을 만든다. 
 
1981년 4월28일 경향신문에 실린 기사

'햇빛 본 할머니의 꿈'은  이주현 여사의 일편단심 스토리를 기록하고 있다.  
 
“수남(水南)! 이렇게 불러볼 날도 이제 오래지 않겠지요.
어언 접어든 나이가 고희를 넘겼으니 살 날이 얼마나 되리까.
당신을 잃은지도 30년 성상,
밟혀도 밟혀도 고개를 쳐드는 민들레 같이 살아온 세월,
몇 번씩이나 지치고 힘에 부쳐 쓰러질 듯 하면서도
그 때마다 당신을 생각하며 이겨 왔습니다." 
 
이 여사는 노구를 무릅쓰고 1년에 걸쳐 집필한 원고 1천여장 분량의

'일편단심 민들레야' 의 첫 머리에 생사를 알길 없는 남편에 대한

사무치는 그리움을 이렇게 적고 있다. 
 
“내가 아무리 끈질긴 생명력의 민들레라 해도
일편단심 붉은 정열이 내게 없었다면 어린 자식들을 못 키웠을 것이고,
지아비에 대한 깊은 그리움의 情이 없었다면

붓대를 들 용기도 내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런 자전(自傳)의 내용을 다듬어서 쓴 노래말은 이렇다. 
님주신 밤에 씨뿌렸네 사랑의 물로 꽃을 피웠네
처음 만나 맺은 마음 일편단심 민들레야
그 여름 어인 광풍 그 여름 어인 광풍
낙엽지듯 가시었나 
 
행복했던 장미인생 비바람에 꺽이니
나는 한떨기 슬픈 민들레야 긴세월 하루같이
하늘만 쳐다보니 그이의 목소리는
어디에서 들을까 일편단심 민들레는
일편단심 민들레는 떠나지 않으리라 
 
노래 중 ‘
그 여름의 광풍'은 1950년 6월 25일에 터진 청천벽력 같은

전쟁을 가리키는 말이었고
‘낙엽지듯 가시었나'는 그해 가을 납북된 남편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하늘만 바라보는 것'은 천국에 간 남편을 바라보며 그리워 함이고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는 그 목소리'는 남편이 떠나면서

"걱정하지마, 잘 다녀올게" 라고 말했던 그 목소리였다. 
 
남편 납북시의 41세 여인은 그 험한 세월을 이겨냈다.

지난 30년의 절망과 피 눈물 속에서도 그녀가 말했듯

'일편단심 붉은 정열'로 버티며 어린 것들을 키워낸 것이다.

'감동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 남매를 광릉에 묻고  (0) 2022.12.12
절망을 이겨낸 의지  (0) 2022.12.06
자만심과 참된지혜  (0) 2022.11.28
당신의 바닥짐(Your ballast)  (0) 2022.11.17
부부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0) 2022.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