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세의 벽
1960년 오사카 출생, 도쿄대 의학부 졸업 후 30년 이상
고령자 의료를 전담 해온 정신과 의사 와다 히데키가 쓴 책의
‘80세의 벽’에서 발췌한 글.
80의 벽을 넘으면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20년이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체력도, 기력도 80세부 터는 70대와 전혀 다르다.
인생 100년 시대라고 하나 건강수명 평균은 男 73세, 女 75세.
80세를 목전에 두고 침대에서 일어나지 못하며 간병 받는
처지가 되는 사람도 많다.
우선 무사히 80대에 진입한 건 축하할 일이다.
80세의 벽은 높고 두꺼우나 벽을 넘는 방법은 있다.
우선 싫은 걸 억지로 참지 말고, 좋아하는 일을 할 것.
먹고 싶은 건 먹는다. 술도 당기면 마셔라.
건강진단은 받지 않는 게 낫다.
약은 상태가 나쁠 때만 복용하자.
운동은 적당히, 그래서 산책이 제일 좋다.
번거로운 뇌 훈련보다 하고 싶은 일을 그냥 하는 것이 뇌에도 좋다.
혈압이나 혈당, 콜레스테롤치는 무리하게 내리지 않아도 괜찮다.
암이 발견되어도 절제하지 않는다.
실금이 걱정되면 기저귀를 착용해라.
치매는 무섭지 않다. 등 건강상식에 무지한 나에겐 힌트가 가득하다.
70대와는 크게 달라서 하나 하나의 선택이 명줄과 직결되는 80세 이후의 삶,
벽을 넘어 수명을 연장시키는 해답? 을 공유하고 싶어 요점을 소개한다.
일단 설득력 있는 전문적 견해인지 여부를 가리는 건 각자의 몫.
나는 80 넘었는데 멀쩡하니 다행이라고 자족할 수는 있겠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지나친 안심과 자만은 금물,
한 치 앞을 모르는 게 우리 80 翁들의 처지 아닌가?
우리가 평소 많이 접하는 말들이지만 이 의사 주장 가운데
마음에 와 닿는 한 두 개라도 골라 실천한다면 아니 함보다는 나을 것이다.
다음은 책의 요지...
인간이 몇 살까지 살 수 있을까? 하는 평균수명이
남성 82세, 여성 88세인 현재
심신 모두 자립하여 건강하게 지낼 수 있는 건강수명은
남성 82세, 여성은 88세라고 한다.
즉 남성은 82세, 여성은 88세가 되면 누군가의 간병을 받으며
살게 된다거나 신변잡사(身邊雜事)를 혼자서 하기 어려워지기?
시작한다는 것.
다른 말로하면 인간은 마지막 10여 년간 질병 등으로
불편하거나 누군가의 간병을 받으며 산다는 말.
따라서 건강수명이 늘어나지 않는한 아무리 장수한들
바람직스럽지 않은 상태로 수명만 연장시키고 있다는 의미다.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는 연령은 남성이 85세,
여성은 90세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미래는 누구도 알 수가 없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우리는 내일 어찌 될지를 모른다.
그러나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인건 있다.
우리 모두가 결국은 죽는다는 사실이 다.
다만 죽음에 이를때 까지에는 두 갈래의 길이 있다.
마지막 순간에 “좋은 인생이었다.감사합니다.”
자족하면서 눈 감을 수 있는 행복한 길과,
회한(悔恨)의 눈물을 흘리는 불만족스러운 길이다.
80세부터의 인생은 70대와는 전혀 다르다.
어제까지 하던 일이 오늘 할 수 없는 사태가 몇 번이고 닥친다.
여기저기 몸의 불편함도 많아진다.
암, 뇌경색, 심근 경색, 폐렴 등 수명에 관계되는 질병에 걸리기도 쉬워진다.
혹시,
내가 치매인가? 하고 불안하게 생각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배우자의 죽음에 직면하여 절망과 고독에 빠질지도 모른다.
이런 벽들을 극복하여,
"행복한 만년"과 ‘불만스런 만년’의 경계에서 좋은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나이 듦’을 받아들이면서도 스스로 할 수 있는
일들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활용하는 자세일터이다.
고령자는 병의 씨앗을 다수 품고산다. 언제 무엇이 발병할지 알 수없다.
오늘은 건강해도 내일 돌연사 할 수도 있다.
이런 상황을 전제로 내일 죽어도 후회하지 않는 인생을 보내기
위해서는 너무 참는다거나 지나친 무리를 하지 않는게 좋다.
80세 넘으면 건강검진은 받지 않아도 괜찮다.
검진은 암의 조기 발견 등으로 이어 지기도 하지만,
각종 수치를 정상 (기준치)으로 만들기 위해 약을 과다 복용함으로써
몸 상태를 저하시키거나, 그나마 남아있는 능력을 상실, 또는 수명을
단축시키는 경우까지 생긴다.
이른바, 과잉검사와 診療 일상화의 늪에 빠져 허우적대는 꼴이다.
건강검진은 60대까지는 의미가 있으나,
80 넘으면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80 넘어 활기있게 살고 있는 사람은 그 자체가 건강하다는 증거다.
그런데 검진을 받고 무슨 수치가 정상을 넘었다며
의사가 약을 처방하면 어찌할 것인가?
그때까지 남아있던 그나마의 건강과 활력마저 손상 될 뿐이다.
노쇠(老衰)는 병이 아니라 조금씩 몸이 약해져 죽음에 이르는
자연스런 과정, "천수를 다한 죽음 "의 방식이다.
85세가 지나면 누구나 몸속에 많은 병의 종자를 갖고 있다.
확실한 증상이 없어도, 어딘가 불편한 곳이 있기 마련이다.
병원에서 검사 받고, 병을 발견, 약을 먹거나 수술 받아
수명을 연장할 것인가?
자택이나, 요양원에서 하고 싶은일 해가면서 살것인가?
그건 오로지 당신이 선택할 일이다.
80 넘으면 병은 완쾌되지 않는다.
일시 호전되는가 싶다가도 나쁜 부분이 차례차례 나타난다.
정확히 말하면 이런 것이 나이를 먹는다는 것이다.
장기별 진료의 폐해는 먹는 약이 많아진다는 것.
전문과 의사마다 처방해주는 약을 먹다 보면
아침, 저녁 먹는 과다한 약이 오히려 독으로 작용하는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마저 들 지경이다.
고령자일수록 약이 몸에 해를 끼치는 만큼 역시 약은 필요,
최소한 으로 억제할 일이다.
그러나 몸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엔 참지 말고 먹어야 한다.
머리가 아프면 두통약을, 위가 아프면 위장약을 먹으면 된다.
80 넘은 시신을 부검했을 때, 동맥경화가 없는 경우는 보질 못했다.
그냥 둬도 좁아져 있는 혈관인데 약으로 혈압을 내려
충혈을 나쁘게 하면 혈액 안의 산소나 영양분이
전신의 세포에 고르게 전달되지 못한다.
가장 데이지를 많이 받는 곳이 뇌(腦)...
산소와 당분이 공급되지 못해 저산소,
저혈당 상태를 일으킨다.
결국, 동맥경화인 경우 혈압과 혈당치를 높게
조절하는 편이 건강 유지에 좋다.
그러니까 혈압, 혈당, 콜레스테 롤을 낮추는 건 동맥경화엔
효과가 있을지라도 몸의 활력이 없어진다거나 암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는 역효과도 생기는 만큼 혈압, 혈당, 콜레스 테롤약을
과다 복용한다는 것은 생활의 질을 낮추는 선택일 수도 있다는 말이다.
당뇨병인 경우 알츠하이머형 치매로 발전하기 쉽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적극적인 당뇨병 치료가 오히려 알츠하이머를
촉진시킨다는 게 맞다.
저혈당도 마찬가 지지만 고령자가 되면 많은 것보다는
부족한 것의 해가 압도적으로 크다.
그러니 80을 넘기면 비만을 걱정하지 말고,
약간 살찌는 걸 목표로 할 것이며,
염분, 당분, 지방을 가리지 말고, 당기는 것을 실컷드시라.
먹고 싶다는 건 몸이 요구한다는 것이다.
영양 부족은 확실히 노화를 촉진시킨다.
무엇인가에 흥미를 느끼고 관심을 갖는다는 건 뇌가 젊다는 증거.
실제로 그것을 실행함으로써 뇌가 활성화되고 몸도 건강해진다.
“이 나이에 남사스 럽게...”라며 억제 하는 일도 많아지지만,
하고 싶은건 참지 말고 하면서 살자.
성욕은 지극히 자연스런 욕구다.
나이가 많아도 자극을 추구하는 건 좋다.
야한 동영상을 보고 싶은 것도 건강하다는 증거...
남성 호르몬 분비가 촉진되어 기력도 회복된다.
다만 하고 싶은것 하라지만, 어디까지나 스스로 콘트롤이 가능한
범위 안에서...
운동도 과욕 부리지 말고, 하루 30분 정도 산책하는게 이상적!
아무튼 건강관리 잘 하셔서, 100세 시대를 구가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건강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몸에 딱 맞는 비타민을 찾아라 (0) | 2022.12.27 |
---|---|
심장을 지키는 8계명 (0) | 2022.12.24 |
꿀과 계피의 엄청난 효능 (0) | 2022.12.21 |
각종 버섯별 효능 총정리 (0) | 2022.12.21 |
치매에 걸리지 않는 비법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