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것'과 '아픈 것'은 비슷해도 다른 것이다.
'늙어 가는 것'과 '아픈 것'은
비슷한 것 같아도 어떻게 다른지?
우리 나이쯤 되면 나타나는 노화현상과
관련한 사항이니 현재의 내 건강 상태와
연관시켜가며 다시 한번 읽어봐야할 내용이다.
가까운 한 친구가 있는데
그는 올해 78세로 老年期에 들어와 있다.
30년 넘게 직장 생활을 했고,
60세 은퇴 후 몇년간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었고,
건강에도 자신이 있어 어지간한
몸의 불편은 대수롭지않게 넘겼다.
동창뿐 아니라 직장생활 등으로 맺어진
인맥도 살아 있었고,
이런저런 모임도 심심찮게 있어서
나름대로 활기있는 老後생활을 즐겼다.
그러다 70대로 들어서자 건강에 문제가
조금씩 나타나면서 그의 生活도 달라져갔다.
쾌활과 낙천은 슬금슬금 어디로 도망가고,
부정과 불안이 반쯤 망가진 팔랑개비처럼
마음 속을 맴돌았다.
그래서 여기저기 증상이 생길 때마다
이 병원에서 저 병원으로 순례가 시작됐다.
배가 이유 없이 더부룩하다, 생 배앓이가 잦다,
이쪽 관절이 쑤신다, 저쪽은 뻣뻣하다,
어깨가 시리다, 눈이 자주 흐릿해지고,
왠 거미줄이 어른거린다,
가는 귀가 먹는 것 같더만
조수미 노래같은
高音이 짜증나게 들린다,
쉬아가 어쩌구 저쩌구~ 등등
다양한 호소를 쏟아냈다.
특별한 이상은 잡히지 않는데,
검사만 자꾸 늘어났다.
평생 병원 신세
안 질 것 같던 자신감은 사라져가고
사소한 신체 문제도 죄다 질병으로 여기며
'병원 의존형' 사람이 됐다.
이를 새로운
사회학 용어로
'메디컬리제이션(medicalization)'이라고 일컫는다.
"모든 증상을 치료 대상이라 생각하며
환자로 살아가는 것"이다.
노령화 진입 초기에 흔히 볼 수 있는 심리적 현상이고,
고령화시대에 일반화된 사회적 현상이다.
노화의 징후로 어차피 나타나는
다음의 증상들은 대개 병(病)이 아니다.
나이 들면 호흡에 쓰는 근육과 횡격막이 약해진다.
허파꽈리(肺胞)와
폐 안의 모세혈관도 줄어간다.
가만히 있어도 예전보다
산소가 적게 흡수되어
평소보다 움직임이
조금만 더 커지거나 빨라지면 숨이 찬다.
이건 질병이 아니다.
체내 산소량에 적응하면서 운동량을
조금씩만 늘려가도 숨찬 증세는 개선된다.
같은 이유로
기침도 약해진다.
미세먼지 많은 날
기침이 자주 나온다는 호소는 되레 청신호다.
기침은 폐에 들어온 세균이나 이물질을
밖으로 튕겨 내보내는 청소효과가 있는데,
그런 날 기침이 있다는 것은 호흡 근육이
제대로 살아 있다는 의미이다.
만성적 기침이 아니라면 병원을 찾을 이유가 없다.
고령에 위장은 움직임이 더디고,
오래된 속옷 고무줄처럼 탄성도 줄어서
음식이 조금만 많이 들어와도 금세 부대낀다.
담즙 생산이 줄어,
십이지장은 일감을 처리할 연료가 모자란 셈이니
기름진 고기의 소화가 어렵다.
젖당 분해 효소도 덜 생산돼
과(過)한 유제품 섭취는 설사(泄瀉)로 바로 이어진다.
대장(大腸)은 느릿하게 굼떠져서
식이섬유 섭취라도 줄면
변비가 오기 쉽고, 막걸리라도
좀 마셨다하면 어김없이 아랫배가
사촌이 논 살 때 마냥 슬슬 아파온다.
이런 불편들은
高齡 친화적 생활 습관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위가 더부룩하면 연한 음식과
소식(小食)으로 습관을 바꿔가면 된다.
또한 고령의 상실감이나
서운함이 밀려올 때도 있다.
그러나 이런 증상들은 마음 먹기에 따라
病이 되기도 하고 아니 되기도 한다.
따라서
사고(思考)전환이 권장되지 치료가
꼭 필요한 게 아니다.
가령
양귀비(楊貴妃)가 옆에 바짝
붙어 있는데도 한창 때 같았으면 ,
천방지축으로 기고만장했을 '똘똘이'가
기침(起枕)할 기미조차 보이지 않으면,
'아! 자손을 번식시킬 의무가 끝났구나' 라고
수긍하면 병(病)이 될 수 없다.
그러나 끝난 의무를 치료대상으로 여겨서
의사나 약 등에 의존하여 억지로 더 질질 끌게되면
병(病)을 만드는 것이 된다.
서운하겠지만 '똘똘이'가
자기 몸에서 가장 똘똘했던 시절은 벌써~
지나갔다
다른 한 편으로,
노화 현상을 모르거나 간과하면
노년의 건강에 해(害)로울 수 있다.
나이 들면 음식을 삼킬 때마다
인후가 기도(氣道) 뚜껑을 닫는 조화로움이 둔해진다.
노인들이 자주 사레 들리는 이유다.
노년의 골 감소증은 어느 정도는 숙명인데,
목뼈에 골다공증이 오면 ,
자기도 모르게 머리가 앞으로 쉽게 숙여진다.
이는 기도(氣道)를 덮는 인후를 압박한다.
아무 생각없이
한 입에 쏙 들어가는 기름 바른 인절미나
조랑떡이 입에 당겨 ,
소시적 처럼 한 입에 냉큼 삼켰다간
기도(氣道)가 막혀 사달이 날 수도 있다.
不必要한 藥 복용이나
무심코 건네받은 건강 보조 약물이
몸을 그르칠 수도 있다.
老齡에는 간(肝) 세포수가 감소하고,
간으로 흐르는 피도 줄어들 뿐더러,
간 효소의 效率性도 떨어진다.
그 결과 약물 대사
(代謝)가 늦어지고,
體內 잔존량이 늘어나 藥禍가 일어날 수 있다.
얼마 전부터 生命工學이나
醫學의 연구영역과는 별도로
社會學者들이高齡化시대의 사회문제로써
이런 現狀들을 들여다 보기 시작했다.
위에 열거된
老齡化 패턴等을 이해한다면
"medicalization",
즉 '증상이 있으니 나는 환자이고
따라서 藥을 먹어야지' 랄지
또는 '몸이 한창때하고
많이 달라, 약을
처방 받아야 해'라는 생각을 상당히
떨쳐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더해
여러 증상에
적절히 순응하면서 다스려가거나, 하다못해
무거워진 몸을 자주 움직여 주기만 해도
마음까지 한결 가뿐해질 수 있다.
'늙어 가는 것'과
'아픈 것'은 비슷해도 다른 것이다.
순리와 섭리에 순응하는 노년의 지혜가 필요하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아.비를 아시나요? (0) | 2024.11.08 |
---|---|
궁신접수(躬身接水) (0) | 2024.11.08 |
나이가 아닌 생각이 문제 (0) | 2024.11.06 |
'벗이여! 따뜻한 사랑 나누세' (0) | 2024.10.31 |
이목구비 耳. 目. 口. 鼻배치한 신(神)의 섭리(攝理) (0)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