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110

보장지(步藏之)와 좌장지(坐藏之)

보장지(步藏之)와 좌장지(坐藏之) 남자 성기를 자지, 여자 성기를 왜 보지라 할까? 보장지(步藏之)와 좌장지(坐藏之) 기생방 출입이나 하고 천하 난봉꾼으로 장안에 소문난 이항복이가 어머니 최 씨의 꾸짖음으로 마음을 바로잡고 이율곡선생 문하에 찾아가서 율곡 선생님과의 첫 대면 얘기다. "소생 이항복이라 하옵니다. 비록 지난날 학문을 도외시하고 못된 일만을 일삼다가 비로소 잘못을 뉘우치고 이제라도 고명하신 선생님의 밑에서 학문에 전념하고자 하옵니다. 부디 저를 너그럽게 받아 주신다면 소생 열심히 학문에 정진하여 그 은혜에 보답하겠습니다" "이항복이라 했는가?" "예" "자네 이름은 익히 들어 알고 있네, 난봉꾼으로 유명하다 들었네 허 허 ~" "송구하옵니다" "난 그저 자네보다 나이가 많을 뿐, 덕이 깊지 ..

상식 2023.03.23

챗 GPT란 무엇인가

챗 GPT란 무엇인가 요즘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프로그램인 챗GPT 돌풍이 무섭다 언론에 보도된 ’챗 GPT 돌풍… 韓 글로벌 AI 전쟁에 낙오’ 되면 안 된다는 기사를 분석해본다. 도대체 챗GPT이무엇인가 알아봅시다. 쉽게 정의 하면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자연어)로 기계와 소통하는 프로그램 시스템이라고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채팅(Chatting)은 카톡과 같이 전자 게시판이나 통신망에서 여려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모니터 화면을 통하여 대화를 나누는 일이고 (인간 : 인간) 챗봇(Chatbot)은 chatter(수다를 떨다)와 robot(로봇)의 합성어로 로벗과 대화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이다. (인간 : 로벗) 챗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상식 2023.02.27

생활의 지혜 31개.

생활의 지혜 31개. 1. 사과 반 쪽을 차 안에 하룻밤 놔 두면 차 안에 냄새가 제거된다. 2. 장미꽃을 화병에 꽂을 때 소다수를 부으면 시들지 않고 오래 간다. 3. 잉크의 얼룩은 하룻밤 동안 우유에 담가두었다 빨면 깨끗이 없어진다. 4. 욕조는 버터와 고운 소금과 우유를 섞어 닦아주면 새 것과 같이 윤이 난다. 5. 하수구가 막히면 거친 소금을 한 주먹 넣고 뜨거운 물을 부으면 뚫린다. 6. 삶는 빨래는 삼베주머니에 계란껍질을 넣고 삶으면 눈같이 하얗게 된다. 7. 가격이나 상표가 붙어 있던 자리에 남아 있는 흔적은 식용유로 닦으면 제거된다. 8. 양파를 사오면 싹이 나오는데 양파봉지에 빵 한쪽 넣어두면 쉽게 싹이 나지 않는다. 9. 거울이나 유리를 닦을 때 식초에 젖은 수건으로 닦으면 깨끗 해 진..

상식 2023.02.26

역사의 감계(鑑戒)

역사의 감계(鑑戒) 우리는 국민학교 때 “조선은 500년 만에 망했다”라고 배웠다. 그리곤 조선이 망한 이유를 달달 외우게 만들었다. “사색당쟁, 대원군의 쇄국정책, 성리학의 공리공론, 반상제도 등 때문에 망했다.” ​ 그러면 대한민국 청소년들은 ‘아, 우리는 500년 만에 망한 민족 이구나, 그것도 기분 나쁘게 일본에게 망했구나“ 하는 참담한 심정을 갖게 되어 있다. 그런데 ”나로호”의 실패를 중국, 미국, 소련 등 다른 나라에 비추어 보듯이 우리 역사도 다른 나라에 비추어 보아야 한다. 조선이 건국된 것이 1392년이고, 한일합방이 1910년이다. 금년이 2020년이니까 한일합방 된 지 딱 110년 이 되는 해이다. 그러면 1392년부터 1910년까지 세계 역사를 놓고 볼 때, 다른 나라 왕조는 60..

상식 2023.02.13

유용한 상식, 사(士, 師, 使, 事)자의 사용 용도 차이 설명

유용한 상식, 사(士, 師, 使, 事)자의 사용 용도 차이 설명 ​ 士,師,使,事 네글자 차이가 무엇일까요? 이 "사"자 네글자는 어디에 붙여 쓰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가 있습니다 ​ 법정에서 재판을 할 때면 판사와 검사, 그리고 변호사가 있고, 대형 사건의 경우에는 법정 서기로 속기사가 있습니다. ​ 이들의 한자 표기는 각각 判事, 檢事, 辯護士, 速記士 입니다. ​ 그런데 자세히 보면 끝에 쓰이는 ‘사’자의 한자가 서로 다른 ‘事’와 ‘士’입니다. 왜 이렇게 다르게 쓰는것일까? 다 같이 법을 다루거나, 법정에서 일하는데 말입니다. ​ 또 흔히 ‘사’ 자 붙은 사람들이라 하여 권력이 있거나 돈벌이가 잘되는 사람들을 얘기할 때 열거하는 직업들이 있습니다. ​ 위에서 언급된 판.검사와 변호사 외에도 이..

상식 2023.02.13

서울이란 지명유래

서울이란 지명유래 우리나라 도시의 이름을 살펴보면 대개가 한자漢字를 사용합니다 서울이라는 지명은 개경에서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후 도시를 정비해 나가는 과정에서 유래 하였습니다 태조 이성계는 제일 먼저 궁과 성을 건축했는데 정도전과 무학은 종교적 사고와 유교적 바탕을 앞세워 서로 강한 주장을 펼쳤습니다 두 사람의 이러한 태도는 성역城役을 정하는 일에서도 예외는 아니 였습니다 현재 청와대 옆산 인왕산 북쪽에 선바위가 있는데 이 선바위를 성 안쪽으로 하자는 무학의 주장과 성 밖으로 하자는 정도전의 주장은 이 태조가 민망스러워 하리 만큼 팽팽했습니다 그 바람에 다른 도성은 다 쌓았는데 인왕산 선바위 부근만 미완성으로 남았습니다 두 사람의 의견 대립으로 공사가 진척되지 않던 어느 날 아침, 밤새 첫눈이 얼마나 ..

상식 2023.02.10

방송에서 쓰는 낯선 단어들

방송에서 쓰는 낯선 단어들 🌷갈라쇼(Gala Show): 어떤 것을 기념하거나 축하하기 위해 여는 공연 🌷갤러리 (Gallery): 미술품을 진열. 전시하고 판매하는 장소, 또는 골프 경기장에서 경기를 구경하는 사람 🌷걸 크러쉬 Girl Crush): 여성이 같은 여성의 매력에 빠져 동경하는 현상 🌷그래피티 (Graffiti): 길거리 그림, 길거리 벽에 붓이나 스프레이 페인트를 이용해 그리는 그림 🌷그루 밍 (Grooming): 화장, 털 손질, 손톱 손질등 몸을 치장하는 행위 🌷노멀 크러쉬(Nomal Crush): 평범하고 소박한 것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정서 동의어: 미니멀 라이프 (Minimal Life) 🌷뉴트로(New + Retro >> Newtro): 새로움과 복고의 합성어로 새롭게 유행하는 ..

상식 2023.02.10

우리 말 12달(月)

우리 말 12달(月) 1월은...해오름달 * 새해 아침에 힘있게 오르는 달 2월은...시샘달 * 잎샘추위와 꽃샘추위가 있는 겨울의 끝 달 3월은...물오름달 * 뫼와 들에 물 오르는 달 4월은...잎새달 * 물오른 나무들이 저마다 잎 돋우는 달 5월은...푸른달 * 마음이 푸른 모든이의 달 6월은...누리달 * 온 누리에 생명의 소리가 가득차 넘치는 달 7월은...견우직녀달 * 견우직녀가 만나는 아름다운 달 8월은...타오름달 * 하늘에서 해가 땅위에선 가슴이 타는 정열의 달 9월은...열매달 *가지마다 열매맺는달 10월은...하늘연달 * 밝달뫼에 아침의 나라가 열린달 11월은...미틈달 * 가을에서 겨울로 치닫는 달 12월은...매듭달 * 마음을 가다듬는 한해의 끄트머리 달

상식 2023.02.05

입춘축 (入春祝)

입춘축 (入春祝) 입춘은 24 절기가 시작되는 절기입니다. 따라서 새해 봄을 맞이하여크게 길하고 이러한 바람을 '立春大吉 建陽多慶(입춘대길 건양다경)' 이라 써서 대문이나 집안 기둥에 붙이는 것을 '입춘축'이라 부릅니다. 입춘축의 또다른 표현들을 살펴보죠. 壽如山 수여산 富如海 부여래 산처럼 장수하고, 바다처럼 부자되어라. 掃地黄金出 소지황금출 開門百福來 개문백복래 땅을 쓸면 금이 쏟아지고 대문을 열면 온갖 복이 들어와라. 父母千年壽 부모천년수 子孫萬代榮 자손만대영 부모는 천년을 장수하시고 자식은 만대까지 번영하라 去千災 거천재 來百福 래백복 재앙은 물러가고 모든 복이 몰려와라 災從春雪消 재종춘설소 福逐夏雲興 복축하운흥 재앙은 봄눈 같이 사라지고 행복은 여름 구름 같이 일어나라 특이한 입춘축으로는 전남 ..

상식 2023.02.04

시발노무색기(始發奴無色旗)

시발노무색기 (始發奴無色旗) 始:비로소 시, 發:필 발, 奴:종 노, 無:없을 무,色:빛 색, 旗:기 기 . 始發奴無色旗(시발노무색기) 우리가 흔히 쓰는 욕설이긴 하지만 실제 중국 고사성어에 나오는 말이다. ​‘시발노무색기’는 중국 고사의 삼황오제 중 주역을 만들어 길흉 화복을 점쳤다는 복희가 중국을 통치하던 시대에 나오는 이야기다. ​우리 민족의 건국설화로서 단군 신화가 있듯이 중국건국 설화가 전해오는데, 바로 중국인들의 생활 속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는 삼황오제이다. ​역사적 실존에 진위여부를 떠나 그들이 갖고 있는 세계관을 들여 다 볼수있는 것임엔 틀림없을것 같다. ​‘시발노무색기’에 대한 유래를 살펴보면, 중국 태백산 주변의 시발현 이라 는 마을에 돌림병이 발생하여 많은 인명피해가 속출하게 된다...

상식 2023.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