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무목양(蘇武牧羊)
소무가 양을 친다는 뜻으로,
충절의 상징을 일컫는 말이다.
蘇 : 되살아날 소(艹/16) 武 : 호반 무(止/4)
牧 : 칠 목(牛/4) 羊 : 양 양(羊/0)
적에 잡혀가서도 끝까지 절개를 지킨 충신으로
중국에서는 소무(蘇武)가 첫손에 꼽힌다.
전한(前漢) 때의 명신인 소무는 전성기를 이끈
7대 무제(武帝)의 명을 받고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다가 구금당한다.
북방의 국경에서 끊임없이 싸움을 일으키던 흉노는
우두머리 선우(單于)의 계략으로 포로를 인솔해 온
소무 일행을 사로잡았다.
온갖 위협과 회유에도 꿈쩍 않는 소무를
선우는 땅굴에 가두었다가 북해(北海, 바이칼호)로 쫓았다.
숫양이 새끼를 낳으면 보내준다고 하고
식량도 주지 않아 들쥐와 풀뿌리로 연명했다.
소무가 양을 친다(牧羊)는 말은 충절을 상징하는 말이다.
절개에 반한 선우의 동생이 양과 소를 보내줘
소무는 19년간 온갖 고생을 이겨내며
고국에 돌아갈 날만을 기다렸다.
무제가 죽고 관계가 회복되자 천신만고 끝에
한나라로 돌아갈 수 있었다.
한나라의 사신을 상징하는 부절(符節)을
잠시도 놓지 않았다 하여 충절을
소무지절(蘇武持節)이라 하기도 한다.
반고(班固)의 '한서(漢書)'에 절조를 지킨
고난의 일생이 상세히 실렸고,
온갖 시화의 소재도 되었다.
그중 시선(詩仙) 이백(李白)이 '소무(蘇武)'란
제목으로 읊은 오언시를 만나 보자.
앞부분 네 구절이다.
蘇武在匈奴, 十年持漢節.
소무는 흉노 땅에 잡혀 있으면서도,
십년이나 한나라의 부절을 지녔다네.
白雁飛上林, 空傳一書札.
흰 기러기 상림원에 날아와서는,
편지를 전한 것도 헛되었구나.
牧羊邊地苦, 落日歸心絶.
양 치느라 변방에서 고생하노라니,
지는 해 볼 적마다 고향생각 간절했네.
渴飮月窟水, 飢餐天上雪.
목마르면 흉노 땅의 물을 마시고,
배고프면 내리는 눈을 삼켰다네.
소무의 생사를 모를 때 기러기가 알려 줬다는 데서
안서(雁書)는 먼 곳에서 온 편지를 말하게 됐다.
달이 나온다는 서역의 땅 월굴(月窟)은
흉노의 땅을 가리킨다.
소무는 절친했던 이릉(李陵)이
'인생은 아침이슬과 같으니(人生如朝露)' 고생할
필요가 있는가 하고 간곡히 만류해도 듣지 않았다.
고생 끝에 돌아온 소무는 황제에게서 벼슬과 많은
제물을 받고 80세가 될 때까지 안락한 생활을 누렸다.
조그만 이해에도 여기 기웃, 저기 기웃하는
속세의 사람들에겐 소무의 충절은 도저히 이해 못할
일이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구개하(信口開河) (0) | 2021.07.19 |
---|---|
부우완항(負隅頑抗) (0) | 2021.07.19 |
상가지구(喪家之狗) (0) | 2021.07.19 |
연미지급(燃眉之急) (0) | 2021.07.19 |
백두산석 마도진(白頭山石 磨刀盡) (0) | 202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