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난다
구두쇠 주인이
종에게 돈은 주지 않고 빈 술병을 주면서 말했습니다~~
술을 사오너라
그러자 종이 말했습니다~~
주인님
돈도 안 주시면서 어떻게 술을 사옵니까~~
주인이 말했습니다~~
돈 주고 술을 사오는 것이야
누구는 못하니
돈 없이 술을 사오는 것이 비범한 것이지~~
종이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빈 술병을 가지고 나갔습니다~~
얼마 후 종은
빈 술병을 가지고 돌아와서
주인에게 내밀었습니다~~
빈 술병으로
어떻게 술을 마시니~~
그때
종이 말했습니다~~
술을 가지고
술 마시는 것이야 누구는 못마십니까~~
빈 술병으로
술을 마셔야 비범한 것이지요~~
ㅎㅎ~~
이 이야기는 탈무드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인생은 주는 대로
받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이 납니다.
그것이 자연의 법칙입니다.
자기에게서 나가는 것이
자기에게로 돌아 옵니다.
자기가 던진 것은 자기에게로
다시 돌아 옵니다.
그래서
인생을 자업자득 혹은 "부메랑"이라고 합니다.
오늘 당신이 심은
것이 내일 그 열매가
되어 돌아 오게 됩니다.
우리는 오늘
어떤 것을 심고 있나요?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추가 궁금 (0) | 2021.09.24 |
---|---|
김미리 부장판사님 보세요 (0) | 2021.09.24 |
선거로 드러난 민심 (0) | 2021.09.24 |
광복의 일등 공신들에게 감사를 잊어서는 안 됩니다 (0) | 2021.09.24 |
@KF-21 보라매 전투기 시제1호기 출고식! (0) | 2021.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