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소
어머님께서 암으로
3개월밖에 못 사신다는 의사의 최후통첩을 받고,
어머님을 병원에서 구급차로 모시고 집으로 돌아오면서
차에 같이타신 아버지의 얼굴을 보았습니다.
63세의 나이가 630세 정도로 들어 보이는 슬픈 얼굴로,
하얀 시트에 누워 눈만 덩그러니 뜨고 천장만 바라보시는
어머니의 손을 붙잡고 깊은 한숨을 토해내며 울음을
삼키고 계셨습니다.
내가 해병대 훈련소 수료식 날,
청자 담배 두 보루를 들고 인천에서 머나먼 진해까지
밤새 기차를 타고 면회오시어 멋쩍은 듯 자식에게
담배를 건네주시며 "이거 네 엄마가 사준 거니까 조금씩 피워라!"
하시던 고마운 나의 아버지!
너무 마른 나의 모습을 보시고는
“얘야, 그리 힘들면 높은 사람에게 힘들다고 얘기해” 하시며
근심 어린 모습으로 내 손을 붙잡아주던 아버지.
아! 그때 처음 아버지의 손을 잡아보았고,
그때도 아버지의 눈가에 서린 눈물방울을 첫번째 보았습니다.
다음 날, 아버지와 아들이 소를 팔기 위해 새벽길을 나섭니다.
그 병원에서는 3개월이라 하지만,
서울 큰 병원에 한 번 더 가보자는 아버지의 말씀에,
집에서 기르던 소를 팔기 위해 아버지는 어미 소,
나는 송아지를 끌고 꼭두새벽에 성황당가는 언덕길을 오릅니다.
아버지는 저만큼 앞에서 어미 소를 끌고 앞서 가시고
나는 뒤에서 송아지를 끌고 뒤를 따르는데,
새벽의 차가운 공기를 가르고 애간장이 녹는 흐느낌의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얼마의 시간이 흐른 뒤 아버지가 연신 팔뚝으로
눈물을 닦으시는 모습을 보고 난 뒤였습니다.
아버지가 어미소의 고삐를 잡고서 흐느끼시는 것이었습니다.
그렇게 우시는 늙은 아버지의 모습을 보며,
나도 송아지를 껴안고 얼마나 울었는지....
당시 기르던 소야 말로 재산목록 1호였으니까요!
일본 강점기와 6·25 피란 시절에도 눈물 한방울
흘리지 않으셨던 아버지가, 새벽 장터로 가는 성황당 고갯길에서
차마 더이상 발길을 떼지 못하고 자식처럼 애지중지로 키운
소와 영영 이별이 서러워 간장이 녹듯이 울고 계셨습니다.
한동안 그렇게 서러움을 토하신 아버지는 더이상
못난 모습을 자식에게 보이기 싫으셨던지,
연신 "이랴! 이랴!" 소리로 울음을 숨기시며 길을 재촉하십니다.
얼마나 걸었을까, 안개가 걷히고 우시장이 나타납니다.
소를 팔고 시장의 순댓국집에 아버지와 앉았습니다.
순대 한 접시를 시켜놓고 소주 한 병을 주문했습니다.
"송아지 끌고 오느라 애썼다. 참 정이 많이 든 소인데
이 소들이 네 엄마를 살려낼지 모르겠다.”
아버지께서 소주잔을 나에게 주시며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강민아! 네 엄마 마즈막 소원이 뭔 줄 아니?"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물음에 곰곰이 생각해보니
나는 엄마와 28년을 살아 오면서도 아직 엄마 소원을
들어본 적도 없었고 물어보지도 않았는데,
조금은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아버지는 한참을 망설인 후 입을 여셨습니다.
“너 장가가는 거 보고 눈 감는 거란다."
아! 어머니 소원이 내가 장가가는거라니...
아버지에게 몇 잔의 소주를 더 청해 마시며 깊은 생각에 잠기고 난후,
그래, 어머니의 소원을 한번 들어드리자.
하지만 결혼은 여건이나 당시의 현실로 불가능한 것이었습니다.
우선 결혼할 상대여자가 없었고, 가진 돈도 직업도 없었으며,
인물도 변변치 못해 약속을 하고싶어도 그저 약속으로
그칠 수밖에 없는 씁쓸한 당시 현실이었습니다.
소를 팔아 치료한 보람도 없이 어머니는 서울 큰 병원에서도
가망이 없다고 하여 다시 퇴원, 집에서 쉬시며
이제 병원에서 알려준 3개월 중에서
겨우 한 달이 남은 상태였습니다.
그런 와중에서 궁즉통(窮卽通)이라더니,
어머니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주라는 하나님의 도우심에서인지
형님 다니시는 교회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참한 처자가 있으니 선을 한번 보라고.
어두컴컴한 부천역 지하 다방에서 딱 한 번
맞선이랍시고 얼굴을 보았습니다.
나는 사실 그때 무엇을 따지고 무엇을 내세울 형편이
못 되었었고 또한 여자의 얼굴을 따질 입장도 아니었습니다.
다음 날 애프터랍시고 빠른 엽서 한 장을 보냈습니다.
“우리 어머님께서 앞으로 한 달밖에 못 사십니다.
어머니의 마즈막 소원이 내가 장가 드는 걸 보시고 가시는 거랍니다.
그래서 나는 한 달 안으로 결혼해야 합니다.
이것이 어머님 마즈막 유언이기 때문입니다.
싱거운 얘기같지만 보름안으로 결혼해주실 수 없을까요?"
다행히 긍정적인 답신이 왔고, 그렇게 우린 결혼을 하였습니다.
교회에서 예식을 하였는데 어머님께서 휠체어를 타고 오셨습니다.
아버지와 함께 앉으신 어머님께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고 계셨습니다.
아버지도 울고, 나도 울고, 신부도 울고…
어머니의 눈물을 아시는 하객들과 주례 목사님도
슬픔을 참지 못했습니다.
신혼여행을 뒤로 미루고,겨우 인천 연안부두에 가서
김소월 시인의 시 '엄마야 누나야'를 부르며
친구들과 잠시 어울렸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그렇게 어머님은 보름 후 돌아가셨고,
아버지는 그해 가을 어머니를 몽매로 그리다가
어머니 곁으로 떠나셨습니다.
동갑 나이에 한 동네에서 태어나시어 63세의
같은 해 봄과 가을에 돌아가신 두 분.
남들은 복받은 분이라 얘기하지만 허울 좋은 이야기며,
그렇게 힘들고 고생만 하시면서 아프게 살아온 삶을
하늘밖에 누가 알아주겠습니까 ?
두 분의 산소를 양지바른 곳에 모시고 비석에
"하나님 아버지, 불쌍한 우리 부모님의 영혼을 받아주시옵소서”
이렇게 새겨놓고, 그래도 부모님이 바라실 효도로써
형제들끼리 잘 지내고 서로 우애하며 사는 것이 도리라 여기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나는 결혼 이후 현재까지 장모님을 어머니처럼 생각하며
30년을 함께 우리집에서 모시고 있습니다.
이젠 장모님도 많이 연로하십니다.
그리고 신혼여행도 못 가고 결혼 첫날부터 어머님 곁에서
병수발로 정성을 다한 아내를 위하여 10여 년 전부터
해마다 해외 여행을 다녀오고 있습니다.
아버지, 어머니!
깊어가는 그곳의 가을은 어떤가요?
시원한 바람, 예쁘게 물들어가는 낙엽들 보시면서 편안히 계십시오.
다음 주에 찾아뵙겠습니다.
아버지,어머니 우리 낳아주시고 길러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https://blog.kakaocdn.net/dn/mcCJb/btrUuHe25TL/4lFSl196cbGA2aLI1JorNK/img.jpg)
'감동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원 풍경! (0) | 2023.01.10 |
---|---|
기부천사 자장면배달원 故김우수씨의 안타까운 죽음!!!. (0) | 2022.12.28 |
어려울 때 얻는 친구 (0) | 2022.12.24 |
영국 대처 수상의 별명이 왜 ‘티나(TINA)’인가 아는가? (0) | 2022.12.21 |
이현령비현령 耳懸鈴鼻懸鈴! (0) | 202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