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단법석(野壇法席)
- 야외의 단에서 베푸는 설법의 자리
[들 야(里/4) 단 단(土/13) 법 법(氵/5) 자리 석(巾/7)]
많은 사람이 모여 떠들썩하고 부산스럽게 구는 것을
모두 야단법석이라고 안다.
그리고 이것이 불교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많이 설명하고 있어 대부분 그렇게 안다.
그런데 이런 해석이 맞기도 하고 다른 설명을 하는 사람도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두 가지가 나오니 다 알면 더 좋겠다.
먼저 불교에서 나왔다는 이야기부터 보자.
野壇(야단)은 실내가 아닌 야외에 세운 단이다.
法席(법석)은 法會席中(법회석중)의 준말로 고승이 설법하는
법회에 둘러앉아 불경을 읽는 자리라 한다.
이런 엄숙한 자리가 언제부터 시끄럽게 되었을까.
불교에서 최초로 법석을 편 것은 釋迦牟尼
(석가모니)께서 득도한지 21일 후인 기원전 527년 12월29일
鹿野苑(녹야원)에서였다고 한국고사성어(임종대 편)는 설명한다.
녹야원은 수풀과 꽃과 열매가 우거지고 새들이
떼지어 노래하는 곳이라는데 처음 법석에 참여한 사람은
迦葉(가섭)을 비롯한 다섯 비구였던 것이
점차 500, 5000 비구로 늘어났다.
이후 석가가 靈鷲山
(영축산, 鷲는 ‘독수리 취’로 읽지만 불교선 ‘축’)에서
般若心經(반야심경)을 설법했을 때는 20만 명이,
法華經(법화경) 때는 300만 명이 모였다고 했다.
이런 군중이 모이면 시끌벅적할 수밖에 없다.
‘야단법석을 친다’, ‘야단법석을 부린다’ 등으로 쓰일 때의
야단이 惹起鬧端(야기요단)의 준말이라는 설명이 또 있다.
일이나 사건 따위를 일으켜 시끄럽게 만든다는 말이다.
시끄러울 鬧(료)를 쓴 요단은
시끄러움이 더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
부수로 쓰이는 싸울 鬥(투, 각) 안에 저잣거리
市(시)가 들었으니 시끄러움을 알겠다.
야기요단의 준말로 惹鬧(야료)도 있는데
까닭 없이 트집을 잡고 함부로 떠들어 대는 것을 말한다.
野壇(야단)의 법석이나 惹端(야단)의 법석이나
떠들썩한 것은 어금버금하다.
그렇다고 어느 법석은 좋고 어느 법석은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시장판의 야단이라도 시끄러움의 원인을 밝히는
시비의 분별이 진리에 접근하는 기초가 된다고 보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단지 우리나라에서 항상 시끄럽고 언제나 야단법석인 곳인
민의의 전당에서 시시비비가 명확히 가려지지 않는 것이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