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조강지처 (糟糠之妻)

우현 띵호와 2021. 7. 19. 22:38

조강지처 (糟糠之妻)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

고생을 함께한 아내

<지게미,糟 겨,糠 갈,之 아내,妻>

 

몹시 가난하고 고생했을 때 함께한 부인을

조강지처라 한다는 것은 대부분 다 안다.

그런데 조강의 뜻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어렴풋할 것이다.

糟(조)는 술을 빚고 난 찌끼, 지게미를 말하고

糠(강)은 쌀겨를 가리킨다.

요즘은 잘 접하지 못해 모르지만,

옛날 가난한 시절 음식이 귀할 때 이것으로

끼니를 때웠다.

아주 살기가 어려웠을 때 거친 음식을 나누며

고생을 함께한 아내는 그만큼 소중한 존재다.

그래서 예로부터 조강지처 버려서 잘 되는 사람

없다고 했다.

糟糠之婦(조강지부) 또는

糟糠之妻 不下堂(조강지처 불하당)이라고도 한다.

不下堂(불하당)은 집에서 나가지 못하게 한다는 뜻이다.

 

王莽(왕망, 莽은 풀 망)의 新(신)나라를 멸하고

서기 25년 다시 後漢(후한)을 세운 光武帝(광무제)는

신하를 아껴 휘하에 현인재사들이 모였다.

우수한 사람이 많다 하여 鐵中錚錚(철중쟁쟁,

錚은 쇠소리 쟁)이라 자랑하는 신하중에 감찰을

맡아보던 大司空(대사공) 직위의 宋弘(송홍)도 있었다.

그는 당당한 풍채에다 정직하고 온후한 성품으로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광무제에는 미망인이 된

손위누이 湖陽(호양)공주가 있었는데 항상 위로하며

때를 보아 개가시키려 했다.

남매가 신하들의 인품을 화재로 이야기를 하던 중

송홍에 대해 호의를 품고 있는 것을 알아챘다.

 

왕이 어느 날 용무가 있어 송홍을 불렀을 때

좋은 기회가 왔다며 공주를 병풍 뒤에 앉힌 뒤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왕이 넌지시 속언에 사람이 지위가 높아지면

옛 친구를 버리고,

부자가 되면 부인을 새로 바꾼다고 하던데

생각이 어떤가하고 묻는다. 송홍이 지체없이 답한다.

'신은 가난할 때 사귄친구는 잊어서는 안 되고,

어려울 때 함께 고생하여 집안을 일으킨 아내는

절대로 내쳐서는 안 된다고 들었습니다

(臣聞 貧賤之知不可忘 糟糠之妻不下堂

/ 신문 빈천지지불가망 조강지처불하당).'

광무제와 호양공주는 마음을 바꿀수밖에 없었다.

范曄(범엽)이 쓴 '後漢書(후한서)' 송홍전에 실린 내용이다.

 

오랜 기간 같이 생활을 한 60대 이상 부부의

이혼이 늘어난다고 한다. 20년 이상 결혼을 지속하다

이혼하는 황혼이혼은 20년 사이 14배 증가했고,

젊은 층의 결혼건수는 줄어드는 추세이니

당연한 일이지만 百年偕老(백년해로)를 약속했을

부부이니 씁쓸하기만 하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선급손(善善及孫)  (0) 2021.07.19
언기식고(偃旗息鼓)  (0) 2021.07.19
마부위침 (磨斧爲針)  (0) 2021.07.19
소심소고(素心溯考)  (0) 2021.07.19
상궁지조(傷弓之鳥)  (0) 2021.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