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석 마도진(白頭山石 磨刀盡)
- 백두산의 돌은 칼을 갈아 닳게 한다, 장수의 기개
[흰 백(白/0) 머리 두(頁/7) 메 산(山/0)
돌 석(石/0) 갈 마(石/11) 칼 도(刀/0) 다할 진(皿/9)]
만주와 함경도 사이의 산 白頭山(백두산)은
우리나라 제일의 산일뿐 아니라 민족의 靈山(영산)이다.
檀君(단군)신화에 등장할 때는 太白山(태백산)으로
그 정기를 타고난 朱蒙(주몽)과 大祚榮(대조영),
李成桂(이성계) 등은 새 나라를 세웠다.
2744m 높이의 宗山(종산)이 不咸山(불함산)이나
長白山(장백산) 등으로 불리며 智異山(지리산)까지
白頭大幹(백두대간)으로 뻗어 내렸다.
이처럼 신성시된 백두산이 그 이름대로 등장한 것은
高麗史(고려사) 이후부터라 한다.
여기에 백두산을 더욱 널리 알리게 된 것은
그곳의 돌을 칼 가는 데에 다 닳게 한다는
南怡(남이, 1441~1468) 장군의 ‘北征詩(북정시)’에
의해서가 아닐까 한다.
모두들 명시로 외우거나 읊은 적이 있을
것이지만 전문을 다시 보자.
‘백두산의 돌은 모두 칼을 갈아 없애고
(白頭山石 磨刀盡/ 백두산석 마도진),
두만강의 물은 모두 말을 먹여 없애네
(豆滿江水 飮馬無/ 두만강수 음마무),
사나이 스물에 나라를 태평스럽게 못하면
(男兒二十 未平國/ 남아이십 미평국),
후세에 어느 누가 대장부라고 일컬으리
(後世誰稱 大丈夫/ 후세수칭 대장부).
’산에 있는 돌을 칼 가는 데에 다 써 버리겠다는
과장이 있는 한편 사내대장부다운 호기와 큰 포부,
그리고 패기가 잘 드러나 있어 더욱 애송됐을 듯하다.
오늘날 북한강의 남이섬으로 영원히 남아 있어도
남이 장군의 일생은 굵고도 짧았다.
太宗(태종)의 딸 貞善(정선)공주의 손자로 태어나
일찍 무관으로 급제하고 변방의 여진족을 정벌하여
병조판서에 오르는 등 초기에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世祖(세조) 말년 남이가 혜성을 보고
묵은 것이 가고 새 것이 온다고 말한 것이
권신들에 의해 역모로 몰려 28세에 죽음을 당했다.
이보다 남이 장군의 세 번째 시구 男兒二十 未平國
(남아이십 미평국)을 男兒二十 未得國(남아이십 미득국)으로
고친 柳子光(유자광)의 음모라고 더 잘 알려져 있다.
실제 이 구절은 후세에 男兒二十 未平賊
(남아이십 미평적)으로 인용된 문집이 많아
억울함을 더한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가지구(喪家之狗) (0) | 2021.07.19 |
---|---|
연미지급(燃眉之急) (0) | 2021.07.19 |
별세(別歲) (0) | 2021.07.19 |
암도진창(暗渡陳倉) (0) | 2021.07.19 |
아비규환 (阿鼻叫喚) (0) | 202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