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마지지(老馬之智)
늙은 말의 지혜란 뜻으로
하찮은 인간일지라도 나름대로의
경험과 지혜가 있음을 비유한 말.
성인의 지혜를 소중히 여길 것을 말함.
老 : 늙을 노, 馬 : 말 마
之 : 갈 지(어조사) 智 : 슬기 지
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라도 저마다
장기(長技)나 장점을 지니고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한비자(韓非子)》세림(說林) 상편에 있는 이야기이다.
춘추시대 오패(五覇)의 한 사람이었던
제(齊)나라 환공(桓公) 때의 일이다.
어느 해 봄, 환공은 명재상 관중(管仲)과
대부(大夫) 습붕(隰朋)을 대동하고
고죽국을 정벌하였다.
그런데 전쟁이 의외로 길어지는 바람에
그해 겨울에야 끝이 났다.
그래서 혹한 속에 지름길을 찾아 귀국하다가
길을 잃고 말았다.
전군(全軍)이 진퇴양난(進退兩難)에 빠져
떨고 있을 때 관중이 말하였다.
“이런 때 늙은 말의 지혜가 필요하다
” 즉시 늙은 말 한 마리를 풀어 놓았다.
그리고 전군이 그 뒤를 따라 행군한 지
얼마 안되어 큰길이 나타났다
또 한번은 산길을 행군하다가 식수가 떨어져
전군이 갈증에 시달렸다.
그러자 이번에는 습붕이 말하였다.
“개미란 원래 여름엔 산 북쪽에 집을 짓지만
겨울엔 산 남쪽 양지 바른 곳에 집을 짓고 산다.
흙이 한 치[寸]쯤 쌓인 개미집이 있으면
그 땅속 일곱 자쯤 되는 곳에 물이 있는 법이다.”
군사들이 산을 뒤져 개미집을 찾은 다음
그곳을 파 내려가자 과연 샘물이 솟아났다.
이 이야기에 이어 한비는 그의 저서 한비자 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관중의 총명과 습붕의 지혜로도 모르는 것을
늙은 말과 개미를 스승으로 삼아 배웠다.
노마지지란 ?
경험을 쌓은 사람이 갖춘 지혜란 뜻으로 사용된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사난열 (易事難說) (0) | 2021.07.19 |
---|---|
성명낭자 (聲名狼藉) (0) | 2021.07.19 |
유좌지기(宥坐之器) (0) | 2021.07.19 |
풍수지탄 (風樹之嘆) (0) | 2021.07.19 |
신구개하(信口開河) (0) | 202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