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반사(茶飯事)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일이라는 뜻으로,
늘 있어서 이상하거나 신통할 것이 없는 일로서
일상의 보통 있는 예사로운 일을 일컫는 말이다.
茶 : 차 다(艹/6),飯 : 밥 반(食/4),事 : 일 사(亅/7)
(유의어)
항다반(恒茶飯), 항다반사(恒茶飯事)
일상에 흔히 자주 있는 일을 '다반사'라 하는 것은 모두들 안다.
한자를 잘 접하지 않은 사람들은 자주 있으니
'많을 다(多)'로 쓸 것이라 짐작한다.
하지만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일(茶飯事)에서 나와
'차 다(茶)'를 쓴다니 의외로 여긴다.
밥은 몰라도 차 마시는 일이 일상사라니 그럴만하다.
명절 때 가족이 모여 차례(茶禮)를 지냈고,
찻잎 따기에서 달여 마시기까지 몸과 마음을 수련하여
덕을 쌓는 행위를 다도(茶道)라 해도 일상과는 거리가 있다.
이 말이 흔히 있는 일상의 일을 가리키게 된 것은
불교와 관계가 깊다고 한다.
달마(達磨)의 동진과 함께 차 문화도 건너 와
중국 총림에선 차를 우려 마시는 것이 일상이었다는 것이다.
차를 심신을 닦는 수행의 하나로 보며
선다일여(禪茶一如)란 말도 나왔는데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가 따른다.
당(唐)나라의 선승 조주(趙州)는 유명한
끽다거(喫茶去)란 말로 차를 선의 경지로
끌어 올렸다는 평가를 받는 선사다.
그가 남긴 '조주록(趙州錄)'은 520여 가지의
일화를 일상적이고 평범한 언어로 기록했다.
이 책의 459칙(則)에 나오는 이야기다.
차를 즐겨 마시는 조주선사가 어느 때
그를 찾은 두 스님에게 여기 온 적이 있는지 물었다.
"없다"고 대답하자 조주가 말한다.
"차나 한 잔 드시오(喫茶去/ 끽다거)."
얼마 뒤 또 한 사람이 왔다. "몇 번째인가?" 물으니
와 본 적이 있다 했다. 역시 "차 한 잔 드시게."
옆에서 차 시중을 들던 시봉 스님이 처음 온 사람이나
여러 번 온 사람이나 차 한 잔 권하는 것이 무슨 까닭인지 여쭈었다.
그랬더니 "너도 차 한 잔 마셔라"라고 한다.
차 마시라는 말이 실제 마시라는 말이 아니고
일상 속의 마음을 바라보라는 의미 깊은 화두
공안(公案)의 하나라는 것이란다.
'끽다거'는 진리를 탐구하는 참구(參究)의 방편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차 마시는 일이 친숙한 일상사임을 알려준다.
송(宋)나라의 선승으로 벽암록(碧巖錄)을 완성했다는
극근(克勤)도 차에 관한 다선일미(茶禪一味)라는 말을 남겼다.
덕이 있는 사람이 마시기에 가장 적당한 것이 차라며
수행과 결부시켰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서도 일찍부터 불가에서
다도가 수행의 일부로 일상화 됐다.
조선 후기의 초의(艸衣) 선사는 선禪) 수행을
차와 일치시켜 차 문화를 부흥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여
다성(茶聖)으로 추앙받는다.
"동쪽나라의 차를 칭송한다"는 뜻의 동다송(東茶頌)은
한국의 다경(茶經)으로 불린다고 한다.
조계종(曹溪宗) 원로스님이었던 동일(東日) 대종사가
2005년 입적 때 제자들에 남긴 오도송(悟道頌)
끝부분이 더욱 의미 깊다. "
시작한 적도 그친 적도 없는 차 마시고 밥 뜨는 일이로다
(無始無終茶飯事/ 무시무종다반사)."
오늘의 사람들은 너무나 바쁘게 생활하는 것이
일상이 되어 다반사의 뜻을 음미하는 것은
무리일지도 모르겠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재시거(唯才是擧) (0) | 2022.05.24 |
---|---|
만파식적(萬波息笛) (0) | 2022.05.22 |
매육매장(買肉埋墻) (0) | 2022.05.21 |
장야지음(長夜之飮) (0) | 2022.05.19 |
번문욕례(繁文縟禮) (0) | 202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