餘桃啗君(여도담군)
먹다 남은 복숭아를 임금에게 먹게 하다-
남을 여(食-7)복숭아 도(木-6)먹일 담(口-8)임금 군(口-4)
이 소리 하다가 느닷없이 저 소리를 해서는
도대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부모가 같은 행동을 두고 어떤 때는 칭찬을 하다가
다른 경우에는 혼을 낸다면 자녀들은 어리둥절할 수밖에 없다.
기분에 따라 하는 행동이 달라진다면 개인 간에는
일관성이 없다거나 表裏不同(표리부동)이라고
욕먹으면 그만이다.
그런데 국가나 높은 사람이 애증에 따라 일을 처리한다면
될 일이 아니다.
먹다가 남은 복숭아(餘桃)를 임금에게 먹인다는(啗君)
이 성어는 기준이 없이 왔다 갔다 하는 행위를 꼬집었다.
餘桃之罪(여도지죄)라고도 한다.
韓非(한비)의 '韓非子(한비자)'에 이 이야기가 실려 있다.
戰國時代(전국시대, 기원전 403년~221년)에는 군주에게
유세하여 벼슬을 얻고 자기의 뜻을 폈는데 說難
(세난, 說은 말씀 설, 달랠 세)편에 그 어려움을 말하고 있다.
衛(위)나라에 彌子瑕(미자하)라는
미소년이 왕의 총애를 받고 있었다.
어느 날 어머니가 편찮다는 소식을 듣고 급한 나머지
슬쩍 왕의 수레를 타고 병문안을 다녀왔다.
당시 임금의 수레를 무단으로 쓰게 되면 발뒤꿈치를 자르는
刖刑(월형, 刖은 벨 월)에 처하게 했으나 왕은 미자하의 형벌도
두려워 않는 효심을 도리어 칭찬했다.
또 한 번은 왕과 함께 정원을 거닐다가
미자하가 복숭아를 따먹게 됐는데 맛이 좋아 반쪽을 왕에게 바쳤다.
그러자 임금은 자신을 위해 복숭아의 단맛도 잊었다고 기뻐했다.
세월이 흘러 미자하의 미모가 옛날처럼 고운 자태를
갖지 못하면서 왕의 사랑도 식어 갔다.
그러다 미자하가 사소한 잘못으로 처벌을 받게 되자 왕이 소리쳤다.
'이 놈은 옛날에 나의 수레를 몰래 훔쳐 타기도 했고
자기가 먹던 복숭아를 먹이기도 했다
(是固嘗矯駕吾車 又嘗我以餘桃/시고상교가오거 우상아이여도).'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화무염(刻畵無鹽) (0) | 2022.06.14 |
---|---|
오교삼흔(五交三釁) (0) | 2022.06.11 |
교문작자(咬文嚼字) (0) | 2022.06.09 |
화병충기(畵餠充饑) (0) | 2022.06.09 |
유생개곡(有生皆哭)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