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동글

여인에게 회초리를 맞은 홍우원

우현 띵호와 2022. 6. 24. 17:30

여인에게 회초리를 맞은 홍우원

조선 선조 때부터 숙종 때까지 살았던 문신으로
예조판서와 호조판서까지 지낸 홍우원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가 젊었을 때 어느 시골길을 가다가 날이 어둡자
어떤 집에 들어가 하룻밤 묵어가기를 청하였다.
그러자 늙은 집주인이 사실은 자기의 부친 제사가

오늘 저녁인데 제사를 모시러 부인과 함께 

형님 댁에 가야 하는데 혼자된 과수 며느리가 

홀로 집에 있게 되어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다고
하소연을 하기에 홍우원은 염려 말고 다녀오시라고 

당부를 하자 그 노인들은 행색이나 모든 걸 보아하니
그렇게 막되어 먹은 사람은 아니란 것을 알아차리고는

젊은 홍우원에게 집을 맡기고 자기 아버지 제사를 

지내려고 집을 떠났던 것이다.

 

그날 밤 외딴 초가집엔 길손인 홍우원과 며느리 둘만이 

단칸방에 남아 밤을 지새는데 젊은 며느리는 외간 남자와 

같은 방에서 지내자니 어색하고 하여 밤새워 물레를 돌리며

앉아서 밤을 지새울 모양 이었다.
홍우원은 윗목에 누워 자다가는 은밀히 딴생각이 일어
뒤척이는 척 하고 다리를 여인의 무릎에 올려놓았다,
여인은 잠결에 그러는 줄 알고는 조용히 다리를 

내려놓고는 물레를 돌리고 있는데,
잠시 뒤 또다시 다리를 자기의 무릎위에 올려놓자
여인도 남자가 이상한 생각을 품고 있음을 알고는 

남자를 흔들어 깨우고 나서는 엄한 목소리로 

매섭게 질책을 하였다.

 

"사람의 도리를 알 것 같은 분이 어찌 이런 행실을 보이십니까? 
저의 시부모님이 손님을 믿고 집을 부탁까지 하셨는데
불량한 마음을 품고 이러시는 것은 올바른 행동이 아니 옳습니다.
이는 마땅히 종아리를 맞아야 할 일이니

나가서 회초리를 가져오시오!"
홍우원은 단정하게 앉아 훈계를 하는 여인의 행동이 

추호도 어긋남이 없고 흐트러진 모습이 전혀 없음에 

오히려 자기의 행동이 부끄럽기도 하여 여인의 말대로 

밖에 나가 회초리를 만들어 가지고 들어왔다.

회초리를 건네받은 여인은

홍우원의 종아리를 사정없이 내려쳤다.
그런 일이 있은 후 얼마 후에
또 어느 지방을 지나다가 날이 저물어 

어떤 집에 하룻밤 묵게 되었는데,
그 집은 젊은 부부가 살고 있는 집 이었다. 
그런데 그날 저녁 집주인인 젊은 남편이 

갑자기 무슨 일이 생겨 먼 길을 떠나야 한다면서 

자기 마누라를 잘 보살펴 달라고 부탁하고는 집을 떠나버렸다.
밤이 되어 홍우원은 그 집 젊은 부인과 한방에서 자게 되었는데.
아랫목에서는 여인이,
윗목에서는 홍우원이 자고 있었는데
지난번 어떤 집에서 엉뚱한 생각을 하다가 

젊은 부인에게 호되게 회초리를 맞았던
기억이 있어 이번에는 조신하게 잠을 청하기로하고 

침수에 들었던 것이다.
밤이 깊자 여인이 일어나서 손님이 춥겠다면서 

아랫목으로 내려오라고 하는 것이다, 
그래도 홍우원은 괜찮다며 정중히 거절하고 그냥 잠을 청했다.
그러나 여인은 은근하게 남자를 유혹하면서 

콧소리를 하면서 유혹 하는 것이다. 
홍우원은 전에 엉뚱한 생각을 가졌다가
밤중에 회초리를 맞은 생각을 하고는 

여인의 유혹에 대응도 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여인은 "허우대는 멀쩡한데 남자구실을 하지

못하는 병신 같으니 세상에 사내가 너 뿐이더냐?"
하고는 밖으로 나가더니
얼마 후 다른 사내를 데리고 들어와서는 

질펀하게 욕정을 태우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때 갑자기 먼 길을 떠난다고 하고 집을 나갔던
남편이 문을 열고 들어 와서는 정을 통하던 남녀를 칼로 찌르고는 
'그동안 의심이 가던 차에 오늘 이 같은 현장을 목격하게 되었다'면서
윗목에서 자고 있는 홍우원에게

 "손님께서는 참으로 올곧은 분이십니다.
마누라의 행실이 하도 나빠
오늘밤에는 그년의 행실을 시험해 보기위해 먼을 간다고
하였는데 자기가 생각했던 대로 마누라의 행실이 바르지 못하여
격분한 나머지 살인까지 하였다" 는 

사실을 솔직하게 털어 놓았던 것이다.
날이 새자 그 집을 떠나온 홍우원은 산마루에 올라 

자기가 떠나온 집을 내려다보니
그 집에서 불길이 솟으며 타고 있었다.
홍우원은 그 후 벼슬에 올라 이조판서까지 올랐으나
그 여인과의 일을 거울삼아 어딜 가나 사람의 본분을 잃지 않고
지킴으로써 공직자의 자세에 흐트러짐 없이 소임을 다하고
언제나 다른 이들의 본보기가 되었다하는 이야기가 있다.

지인에게 받은 글입니다. 
늘 자기 본분을 잃지 않고 정도대로 살아가는 삶이기를 기도 합니다. 
복 짓고 나누는 날 되세요.

홍우원(洪宇遠)은조선숙종때 문신으로

자는 군징(君懲),호는 남파(南坡)다.

검열,주서,정자,예안현감등을역임했으나,

말년에는 허적(許積)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문천으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세상을 떴다.

 

 

 

'감동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을 행복하게 해주고 싶은  (0) 2022.06.24
조앤 롤링  (0) 2022.06.24
이런 며느리라면 얼마나 좋을까?  (0) 2022.06.24
"내가 차를 훔쳤어요"  (0) 2022.06.23
우유 한 잔의 치료비 (실화)  (0) 2022.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