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공휴일궤(功虧一簣)

우현 띵호와 2021. 7. 17. 23:10

공휴일궤(功虧一簣)

마지막 한 삼태기 흙이 모자라 공이 무너진다.

[공 공(力/3) 이지러질 휴(虍/11) 한 일(一/0) 삼태기
궤(竹/12)]

온갖 정성을 기울여 최선을 다한 일은 결과가 말해
준다. 공들여 쌓은 탑은 무너질 리 없다고 했다.
그러나 탄탄한 탑이라도 사소한 실수에서
만사휴의가 된다. 앞서 나왔던 堤潰蟻穴(제궤의혈)은
천 길이나 되는 제방 둑이 조그만 개미구멍에 의해
무너진다고 가르쳤다. 그러니 ‘다 된 밥에 재
뿌리기’가 되지 않도록 마지막까지 작은
빈틈이라도 보이지 않아야 되는 법이다.

산을 쌓아 올리는데 한 삼태기의 흙을 더 보태지
않아 완성을 보지 못한다는 이 성어는 거의 이루어진
일을 중지하여 오랜 노력이 아무 보람도 없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四書三經(사서삼경)에 드는 중국 고대의 기록
‘書經(서경)’에 이 말이 처음 등장한다.
상고시대의 책으로 숭상해야 된다는 뜻의
尙書(상서)라고도 한다. 武王(무왕)이 폭군
紂王(주왕)을 폐하고 周(주)나라를 세웠을 때 그
위력이 주변의 九夷八蠻(구이팔만)까지 떨쳤다.

서쪽의 旅(여)라는 나라에서 특산품인 큰 개 獒(오,
獒는 사나운개 오)를 바쳤다. 이 개는 키가 넉 자가
되고 사람의 말도 알아들었다. 무왕은 이 기이한
개를 받고 애지중지했다. 동생 召公(소공) 奭(석)은
개에 빠져 정치를 등한히 하지 않을까 하여 경계하는
글을 올렸다.

고생 끝에 나라를 열었으니 군주된 사람은 새벽부터
밤까지 부지런히 정사에 임해야 한다며 이어진다.
‘사소한 행동에 신중하지 않으면 끝내는 큰 덕에
누를 끼치게 됩니다.

아홉 길 높은 산을 만드는데 흙 한 삼태기가 없어
공을 헛되이 해서는 아니 됩니다(不矜細行 終累大德
爲山九仞 公虧一簣/ 불긍세행 종루대덕 위산구인
공휴일궤).’ 仞은 길 인, 길이 단위로 1인이 8척이라
했다. 旅獒篇(여오편)에 실려 있다. ‘論語(논어)‘
子罕(자한)편에는 ’비유하자면 산을 쌓는데 흙 한
삼태기가 모자라 이루지 못했다(譬如爲山 未成一簣/
비여위산 미성일궤)‘로 비슷하게 나온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엽장목(一葉障目)  (0) 2021.07.17
게부입연(揭斧入淵  (0) 2021.07.17
성사원방(省事遠謗)  (0) 2021.07.17
輕擧妄動 (경거망동)  (0) 2021.07.17
질족선등(疾足先登)  (0) 2021.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