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기옥골(氷肌玉骨)
얼음같이 흰 살결과 옥 같은 골격의
풍채를 지녔다는 뜻으로,
살결이 맑고 깨끗한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또는 매화의 곱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氷 : 얼음 빙(水/1) 肌 : 살 기(肉/2)
玉 : 구슬 옥(玉/0) 骨 : 뼈 골(骨/0)
얼음같이 흰 살결(氷肌)과 옥 같은 골격의
풍채를 지녔다(玉骨)는 이 말은 두 가지
뜻이 있다. 피부가 더없이 고운 미인을
가리키거나 수많은 시인묵객들이 노래한 꽃,
매화(梅花)를 묘사한 데서 나왔다.
매화는 매난국죽(梅蘭菊竹)의 사군자(四君子)
중에서도 첫 손에 꼽히고, 소나무, 대나무와
함께 삼청(三淸)이나 세한삼우(歲寒三友)로
불릴 정도로 선비들의 숭상을 받았다.
양화소록(養花小錄)과 함께 조선의 2대
원예서로 꼽히는 화암수록(花菴隨錄)에도
물론 1등급에 올라 있다.
꽃과 여인, 이 두 가지를 한꺼번에 노래한
것이 많은 것도 매화의 청초한 자태와
은은한 향기가 미인을 연상했기 때문이다.
먼저 미인을 나타낸 시를 두 편만 보자.
시와 술, 거문고를 즐겨 삼혹호(三酷好)
선생이라 자칭했던 고려시대의 명문장가
이규보(李奎報)의 '매화(梅花)' 후반부다.
玉肌尙有淸香在(옥기상유청향재)
옥 같은 살결엔 아직 맑은 향기 있어,
竊藥姮娥月裏身(절약항아월리신)
약을 훔쳤던 달 속의 미녀 항아의 전신인가.
조선 중기 대학자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매화사랑은 유명하여 62제목에 91수의
매화시를 남겼다.
群玉山頭第一仙
군옥산 머리에 제일 아름다운 선녀인가
氷肌雪色夢娟娟
눈같이 흰 살결 꿈에 본 듯 아리땁네
대월영매(對月詠梅)의 부분이다.
군옥산은 서왕모(西王母)가 산다는 산이다.
두 편 모두 옥기(玉肌), 빙기(氷肌)로 묘사했다.
매화는 다른 꽃보다 먼저 눈 속에서도 핀다고
선비의 절개를 상징했다.
조선 중기 문인 신흠(申欽)은 유명한
'야언(野言)'의 첫머리에서 이렇게 노래한다.
桐千年老恒藏曲
오동나무는 천년을 살아도 항상 그 가락을 지니고
梅一生寒不賣香
매화는 일생을 춥게 살아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매초명월(梅梢明月;
매화가지 끝의 밝은 달)'은 이렇다.
霜雪助素艶, 淸寒徹人髓.
서리 눈에 흰 살결이 더욱 어여뻐,
맑고 찬 기운이 뼈에 스민다
對此洗靈臺, 今宵無點滓.
매화꽃 마주 보며 마음 씻으니,
오늘 밤엔 한 점 찌꺼기 없네.
중국의 시인묵객들도 매화에 관해
많은 글을 남겼지만 우리나라 명시도 많다.
조선 후기의 가객 안민영(安玟英)이 남긴
'매화사(梅花詞)' 시조 8수 중의 3수에는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氷姿玉質(빙자옥질)이여 눈 속에 네로구나
가만히 향기 놓아 黃昏月(황혼월)을 기약하니
아마도 雅致高節(아치고절)은 너뿐인가 하노라.
빙자옥질(빙자옥질), 아치고절(雅致高節)
모두 매화의 절개를 표현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후(獅子吼) (0) | 2021.07.20 |
---|---|
대공무사 (大公無私) (0) | 2021.07.20 |
일파만파(一波萬波) (0) | 2021.07.20 |
삼촌설격퇴적(三寸舌擊退敵) (0) | 2021.07.20 |
경단급심 (綆短汲深) (0) | 202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