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문과식비(文過飾非)

우현 띵호와 2024. 3. 27. 22:03

문과식비 (文過飾非)

허물도 꾸미고 잘못도 변명하다.
[글월 문(文/0) 지날 과(辶/9) 꾸밀 식(食/5) 아닐 비(非/0)] 
 
자기가 잘못을 저지르고도

대체로 사람들은 인정하는데 인색하다.

일이 안될 때 그 책임을 남에게

돌리는 태도를 비꼬는 말은 숱하다.

‘잘 되면 제 복, 못되면 조상 탓’,

‘쟁기질 못하는 놈이 소 탓한다’,

‘글 잘 쓰는 사람은 필묵을 탓하지 않는다’ 등등이다.

孔子(공자)님도 점잖게 타이른다. 
 
‘군자는 자기 자신에게서 잘못을 찾고,

소인은 남에게서 잘못을 찾는다

(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 군자구저기 소인구저인).’

諸는 모두 제, 어조사 저. 이렇게 경계하라는 말이

많아도 지키기는 어려운지 허물도 꾸미고

(文過) 잘못도 꾸미는(飾非) 것은

인지상정인 모양이다.

잘못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뉘우침도 없이

숨길 뿐만 아니라 도리어 남 탓을 하고 잘난 체만 한다.

文(문)은 물론 꾸민다는 뜻이다. 
 
이 말이 먼저 나온 곳은 ‘論語(논어)’의 子張(자장)편이다.

공자의 제자 子夏(자하)가 말했다.

‘소인은 잘못을 저지르면 반드시 그럴듯하게 꾸며대려 한다

(小人之過也必文/ 소인지과야필문).’

잘못을 인정하기는 커녕 잘못이 아닌 듯이 꾸밈으로써

더 큰 잘못을 저지르는 것이 소인이란 뜻이다.
朱子(주자)의 ‘論語集註(논어집주)’에는 이렇게 설명한다.

‘문은 꾸미는 것이다. 소인은 허물을 고치는데 꺼리고,

스스로 속이는 데엔 꺼리지 않으므로,

반드시 꾸며서 그 허물을 거듭한다

(文飾之也 小人憚於改過 而不憚於自欺 故必文以重其過/

문식지야 소인탄어개과 이불탄어자기 고필문이중기과).’ 
 
‘孟子(맹자)’엔 옛날 周公(주공)도 잘못이

있었다면서 이렇게 설명한다.

‘옛날의 군자는 잘못이 있으면 고쳤는데,

오늘날의 군자는 허물이 있어도 그대로 밀고 나간다

(古之君子 過則改之 今之君子 過則順之/

고지군자 과즉개지 금지군자 과즉순지)’고

하며 덧붙인다.

옛 군자는 그 과오가 마치 일식이나 월식과 같아서

인민들이 모두 볼 수 있었고 그것을 고쳤을 때

모두 우러렀는데 오늘날 군자는 다만 과오를

따를 뿐 아니라 변명하기까지 한다는 것이다.

公孫丑(공손추) 하편에 실려 있다. 
 
잘못은 성인도 저지를 수 있다.

다만 변명과 거짓말로 둘러 대는가

아닌가에서 차이가 난다.

업무가 마비된듯한 이 위기상황에 책임이 있다는

사람들은 어디에도 없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불고 필유린 [德不孤 必有隣]  (0) 2024.03.27
오곡불분 (五穀不分)  (0) 2024.03.27
원려근우 (遠慮近憂)  (0) 2024.03.27
용양호보(龍驤虎步)  (0) 2024.03.27
회벽유죄(懷璧有罪)  (0) 202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