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지과필개(知過必改)

우현 띵호와 2021. 7. 15. 23:17

지과필개(知過必改)

잘못을 알고 반드시 고친다.

[알 지(矢/3) 지날 과(辶/9) 반드시 필(心/1) 고칠
개(攵/3)]

성인이 아니라면 완전무결한 사람이 있을 수 없다.
다소의 차이는 있을망정 허물이 따르기 마련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모든 탓은 남에게 돌린다. 제 눈에 있는 들보는
보이지 않고, 작더라도 남의 눈에 있는 티끌은 잘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소경이 개천 나무라고, 못
되면 조상 탓을 한다.

소수일지라도 자신의 단점을 잘 알고 잘못을
저질렀을 때 인정 여부에 따라 좋은 사람도, 나쁜
사람도 된다. 자신의 잘못을 알 뿐만 아니라
고치기까지 한다면 앞의 잘못도 따지지 않고
넘어간다.

잘못을 알게 되면(知過) 반드시 고친다(必改)는 이
성어는 ‘論語(논어)’의 子張(자장)편에서 나와
마음을 다스리는 숱한 책에 인용됐다. 孔子(공자)의
제자들 이야기를 모은 이 편에서 子貢(자공)이 한
이야기를 보자.

‘군자의 잘못은 일식이나 월식과 같다. 잘못을
저지르면 사람들이 모두 그것을 보게 되고, 잘못을
고치면 모두 우러러본다(君子之過也 如日月之食焉
過也 人皆見之 更也 人皆仰之/ 군자지과야
여일월지식언 과야 인개견지 경야 인개앙지).’

子夏(자하)가 ‘소인들은 잘못을 저지르면 반드시
꾸며댄다(小人之過也必文/ 소인지과야필문)’고
말한 것도 같은 편 앞부분에 있다. 공자는 곳곳에
비슷한 가르침을 남겼는데 ‘잘못은 아무 거리낌
없이 고쳐야 한다(過則勿憚改/ 과즉물탄개)’가
學而(학이)편에, ‘잘못을 고치지 못하는 것이 나의
걱정거리(不善不能改 是吾憂也/ 불선불능개
시오우야)’란 말이 述而(술이)편에 있다.

‘明心寶鑑(명심보감)’에는 자장편의 말 뒤에
덧붙여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쳐 능히 잊지 않아야
한다(知過必改 得能莫忘/ 지과필개 득능막망)’고
했고 ‘千字文(천자문)’에도 그대로 실려 있다. 또
‘四字小學(사자소학)’에는 ‘착한 것을 보면
그것을 따르고, 잘못을 알면 반드시 고쳐라(見善從之
知過必改/ 견선종지 지과필개)’로 되어 있다.

남이 조그만 잘못을 했을 때는 크게 부풀려
針小棒大(침소봉대)하고 자신의 잘못은 끝까지
감추다 들통 나면 변명에 급급하다. 상대방을
무너뜨려야 자신이 살아가는 정치판이 아닌
다음에야 이렇게 해서는 사회생활을 유지할 수 없다.
어디까지나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고 상대의 능력을
인정해야 신뢰가 싹튼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사원방(省事遠謗)  (0) 2021.07.17
輕擧妄動 (경거망동)  (0) 2021.07.17
질족선등(疾足先登)  (0) 2021.07.15
구년지축(九年之蓄)  (0) 2021.07.15
척탕천고수(滌蕩千古愁)  (0) 2021.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