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지육림 (酒池肉林)
술로 가득한 연못과 고기로 된 숲,
질펀한 술자리
<술,酒 못,池 고기,肉 수풀,林>
거창한 술자리를 나타내는 말은 어떤 것이 있을까.
百藥之長(백약지장)이나 시름을 잊게 해 준다는
忘憂物(망우물) 등 술을 찬미하는 말이 많은 만큼
술자리가 파한 뒤의 모습을 말하는 성어가 많다.
술잔과 접시가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杯盤狼藉(배반낭자),
술잔과 산가지가 뒤섞인 觥籌交錯(굉주교착, 觥은 술잔 굉),
밤낮이 이어지는 주연 卜晝卜夜(복주복야) 등이다.
하지만 이런 정도는 저리가라 하는 말이 술로 연못을
이루고(酒池/주지) 고기로 숲을 이룬다(肉林/육림)는 뜻의 이 성어다.
호사스런 술잔치를 이를 때 일상에 많이 쓰이는 이 말이
폭군의 대명사 殷(은)나라의 마지막 왕 紂王(주왕)에게서
나왔으니 규모로 다른 말을 압도한다. 주왕은 앞서 夏(하)
나라의 마지막 왕 桀王(걸왕)과 함께 桀紂(걸주)로 칭하지만
술로 가득찬 연못과 고기안주를 나무마다 매달아
숲을 이룬 이 성어만으로도 향락에 더 앞선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계속되는 방탕한 주연이었기 때문에
長夜之飮(장야지음)이라고도 한다.
'史記(사기)'의 殷本紀(은본기)에 나온다.
주왕이 처음부터 이렇게 방탕생활에 빠진 것은 아니었다.
초기엔 지용을 겸비하여 전쟁에 나서기만 하면 승리를 거뒀다.
주왕이 有蘇氏(유소씨)를 토벌했을 때 전리품으로 얻은
妲己(달기, 妲은 여자이름 달)라는 미녀를 얻고부터는
그녀의 환심을 사기 위해 무엇이든 다 했다.
무거운 세금으로 鹿臺(녹대)라는 거대한 금고를 만들어
보화를 채웠고 간하는 신하들에겐 炮烙(포락, 지져서
통째로 구움)이란 형벌로 다스렸다.
또한 달기의 청을 받아들여
'술로 채운 연못과 고기 안주를 매단 나무로 이루어진 숲을
만들어 수많은 알몸의 남녀들이 그 안에서 서로 쫓게 하고
밤새도록 술을 마셨다(以酒爲池 懸肉爲林 使男女裸相逐其間
爲長夜之飲/ 이주위지 현육위림 사남여라상축기간 위장야지음).'
꼭 이렇게 질탕한 술자리가 아니더라도 호화판인 잔치는
곧잘 '술 못에 고기 숲'의 이 성어에 비유된다.
술을 백약의 으뜸이라 여기는 사람도 다수이고 술 취한 사람의
행위를 너그럽게 봐 주는 풍조도 겹쳐 건강을 해치는 사례도 많다.
술자리가 많아지는 연말 등에는 특히 조심하는 것이 좋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사연맥 (兔絲燕麥) (0) | 2021.07.20 |
---|---|
생령도탄(生靈塗炭) (0) | 2021.07.20 |
천리 송아모 (千里送鵝毛) (0) | 2021.07.20 |
오조사정(烏鳥私情) (0) | 2021.07.20 |
구중형극 (口中荊棘) (0) | 202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