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유사유(國有四維)
나라를 유지하는 네 가지 근본.
[나라 국(囗/8) 있을 유(月/2) 넉 사(囗/2) 벼리 유(糸/8)]
仁義禮智(인의예지)는 사람이 마땅히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성품을 말한다.
어질고, 의롭고, 예의 바르고,지혜로움이다.
이 四德(사덕)은 孟子(맹자)가제시했다.
仁(인)을 중시한 孔子(공자)는 ‘지혜로운 사람은
미혹되지 않고, 어진 사람은 걱정하지 않고,
용감한 사람은 두려워하지 않는다(知者不惑
仁者不憂 勇者不懼/ 지자불혹 인자불우
용자불구)’며 智仁勇(지인용)을 세우고 예에 따라
克己復禮(극기복례)해야 인을 실천한다고 했다.
맹자는 여기에 義(의)를 더한 것이다.
유가의 사덕과 비슷할 것 같은 禮義廉恥(예의염치)는
사뭇 다르다. 체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이 염치다. 그런데 이것이 나라의 기강을
세우는데 가장 중요한 구실을 한다고 管仲(관중)은
주장했다. 중국 春秋時代(춘추시대, 기원전
770년~403년) 齊(제)나라의 桓公(환공)을 도와 패업을
이루게 한 그의 저작 ‘管子(관자)’에 나온다.
본란의 破廉恥(파렴치)에 소개한 대로 예의염치가
바로 四維(사유)다. 벼리 維(유)의 벼리는 고기그물을
사방에서 동시에 거두어 올릴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줄을 말한다.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이 알아야 할
이치의 서론에 해당하는 牧民篇(목민편)의 내용을
보자.
예의염치를 설명하면서 ‘나라에는 네 가지 강령이
있는데 이 가운데 하나가 끊어지면 나라가 기울고,
두 가지가 끊어지면 위태로우며, 세 가지가 끊어지면
뒤집어지고, 네 까지가 다 끊어지면 망하여 다시
일으킬 수 없다(國有四維 一維絕則傾 二維絕則危
三維絕則覆 四維絕則滅/ 국유사유 일유절즉경
이유절즉위 삼유절즉복 사유절즉멸)’고 했다.
그러면서 ‘예란 절도를 넘지 않음이요, 의란
제멋대로 나아가지 않음이고, 염이란 잘못을
은폐하지 않음이요, 치란 그릇된 것을 따르지
않음(禮不踰節 義不自進 廉不蔽惡 恥不從枉/
예불유절 의부자진 염불폐악 치불종왕)’이라 하고
그것이 넘어서지 않을 때 사악한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가르친다. 踰는 넘을 유, 蔽는 덮을 폐,
枉는 굽을 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독(愼獨) (0) | 2021.07.20 |
---|---|
삭족적리(削足適履) (0) | 2021.07.20 |
과갈지친(瓜葛之親) (0) | 2021.07.20 |
동류합오(同流合汚) (0) | 2021.07.20 |
슬갑도적(膝甲盜賊) (0) | 202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