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미이취(數米而炊) 쌀 낟알을 세어 밥을 짓다, 몹시 인색하다. [셈 수(攵/11) 쌀 미(米/0) 말이을 이(而/0) 불땔 취(火/4)] 조의 낟알을 말하는 좁쌀이 작아서인지 작은 물건이나 좀스러운 사람을 말할 때 잘 비유된다. 도량이 좁고 옹졸한 사람을 좁쌀영감이라고 비아냥대는 것이 좋은 보기다. 조그만 것을 아끼려다 오히려 큰 손해를 입을 때도 ‘좁쌀만큼 아끼다가 담돌 만큼 해 본다’란 속담에도 어김없이 등장한다. 이와 같이 쌀알을 하나하나 세어(數米) 밥을 짓는다면(而炊) 참으로 계획을 세워 일을 잘 한다고 할 수 있을까. 참으로 빈한하여 낟알을 센 뒤 밥을 짓는다고 볼 사람은 적고, 아끼는 것이 지나쳐 인색하다는 비난을 받을 것이 뻔하다. 모든 것이 부족했던 옛날에는 아끼는 것이 미덕이었지만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