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기식고(偃旗息鼓) 전쟁터에서 군기를 누이고 북을 쉰다는 뜻으로, 휴전함을 이르는 말이다. 偃 : 쓰러질 언(亻/9) 旗 : 기 기(方/10) 息 : 쉴 식(心/6) 鼓 : 북 고(鼓/0) (유의어) 엄기식고(掩旗息鼓) 출전 : 삼국지(三國志) 卷36 촉서(蜀書) 조운전(趙雲傳) 깃발을 내리고 북소리를 멈춘다는 뜻으로, 적의 눈에 띄지 않게 비밀리에 작전함을 이르는 말이다. 중국의 삼국지(三國志)는 후한(後漢)이 명맥만 유지할 때 위촉오(魏蜀吳)의 세 나라가 할거한 3세기 때의 이야기다. 잘 알고 있는 대로 진(晉)나라의 진수(陳壽)가 편찬한 정사 삼국지는 사기(史記),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와 함께 중국 전사사(前四史)에 포함되는 비중이지만 너무 위나라에 치우치고 간략하다는 평이다. 여기에 비해..